위대한 인물들은 결코 서두르지 않는다 [고두현의 인생명언]
입력
수정
“지난 세기의 위대한 인물들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그래서 세계는 그들을 성급하게 잊지 않는다.”
<카오스>의 저자로 유명한 미국 과학저널리스트 제임스 글릭이 한 말이다. 그는 <빨리 빨리>(원제: Faster)라는 책에서 이 경구를 들려주며 현대인의 조급증을 꼬집는다.그는 엘리베이터와 인내심 얘기를 하면서 ‘속도전에 대한 멋진 패러독스’를 펼쳐 보인다. 엘리베이터 앞에서 기다리는 한계 시간은 15초 정도라고 한다. 40초가 넘으면 대부분 화를 낸다.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거나 그 안에 있을 때 사람들은 뭔가 생산성 없는 일을 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처음 등장한 엘리베이터의 속도는 1초에 20㎝였다. 지금은 초당 12m 이상으로 날아다닌다. 비행기 이륙속도와 맞먹는 빠르기다. 요즘은 ‘나노초(nanosecond: 10억분의 1초)’라는 표현도 흔해졌다. 10억분의 1초라면 거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나 마찬가지다.
그런데 위성 신호를 받을 땐 문제가 달라진다. 조금이라도 빈틈이 있어서는 안 되고 시간도 빛의 단위로 쪼개 써야 하는 세상이 됐다. 도대체 얼마나 더 빠르고 부지런해야 할까.그의 명언을 미국판 ‘느림의 미학’이라고 표현해도 될 성싶다.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쌍소가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통해 유럽 철학자의 인문적 사유를 보여줬다면 그는 <빨리 빨리>에서 미국 과학저술가의 사회학적 성찰을 보여준다.
그가 말한 대로 뉴스채널 CNN과 음악채널 MTV조차 속도전의 선두를 다투고 있다. CNN은 30초짜리 광고를 접수해 8초나 5초짜리로 만들어버렸고 MTV의 뮤직비디오는 어떤 쇼트도 1~2초 이상 지속하는 법이 없다.
신문도 현대인의 습성에 맞춰 기사를 짧게 쓴다. 여러 일간지를 요약해주는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야구 경기 또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온갖 규칙들을 도입했다.하기야 러시아 대문호 솔제니친도 강제수용소에서 보낸 16년보다 전차를 기다리는 16분을 더 지루해하는 자신에게 놀랐다고 한다. ‘시간’은 이처럼 신비롭다.
제임스 글릭은 또 "현대인들이 시간을 사고팔면서 낭비하는 반면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원하는 만큼 시간을 창조하고 생산한다"고 말한다.
시간이란 분할된 꾸러미들의 연속체라기보다 하나의 지속적인 흐름이며, 인간에 의해 정의되고 분석되고 측정되는 것이라는 얘기다. 잃어버렸다가 되찾는 게 아니므로 과학기술이 더 많은 시간을 갖게 해주지도 않는다.따라서 시간의 흐름 속에 몸을 내맡기거나 헤엄치는 것은 전적으로 선택의 문제다. 시간의 무늬는 스스로 디자인하기 나름이다.
시간에 대한 그의 명언은 에밀레종의 울림만큼 긴 여운을 남긴다. 다시 한번 차분하게 음미하며 나를 돌아보기로 하자.
“지난 세기의 위대한 인물들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그래서 세계는 그들을 성급하게 잊지 않는다.”
고두현 시인 kdh@hankyung.com
<카오스>의 저자로 유명한 미국 과학저널리스트 제임스 글릭이 한 말이다. 그는 <빨리 빨리>(원제: Faster)라는 책에서 이 경구를 들려주며 현대인의 조급증을 꼬집는다.그는 엘리베이터와 인내심 얘기를 하면서 ‘속도전에 대한 멋진 패러독스’를 펼쳐 보인다. 엘리베이터 앞에서 기다리는 한계 시간은 15초 정도라고 한다. 40초가 넘으면 대부분 화를 낸다.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거나 그 안에 있을 때 사람들은 뭔가 생산성 없는 일을 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처음 등장한 엘리베이터의 속도는 1초에 20㎝였다. 지금은 초당 12m 이상으로 날아다닌다. 비행기 이륙속도와 맞먹는 빠르기다. 요즘은 ‘나노초(nanosecond: 10억분의 1초)’라는 표현도 흔해졌다. 10억분의 1초라면 거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나 마찬가지다.
그런데 위성 신호를 받을 땐 문제가 달라진다. 조금이라도 빈틈이 있어서는 안 되고 시간도 빛의 단위로 쪼개 써야 하는 세상이 됐다. 도대체 얼마나 더 빠르고 부지런해야 할까.그의 명언을 미국판 ‘느림의 미학’이라고 표현해도 될 성싶다.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쌍소가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통해 유럽 철학자의 인문적 사유를 보여줬다면 그는 <빨리 빨리>에서 미국 과학저술가의 사회학적 성찰을 보여준다.
그가 말한 대로 뉴스채널 CNN과 음악채널 MTV조차 속도전의 선두를 다투고 있다. CNN은 30초짜리 광고를 접수해 8초나 5초짜리로 만들어버렸고 MTV의 뮤직비디오는 어떤 쇼트도 1~2초 이상 지속하는 법이 없다.
신문도 현대인의 습성에 맞춰 기사를 짧게 쓴다. 여러 일간지를 요약해주는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야구 경기 또한 시간을 줄이기 위한 온갖 규칙들을 도입했다.하기야 러시아 대문호 솔제니친도 강제수용소에서 보낸 16년보다 전차를 기다리는 16분을 더 지루해하는 자신에게 놀랐다고 한다. ‘시간’은 이처럼 신비롭다.
제임스 글릭은 또 "현대인들이 시간을 사고팔면서 낭비하는 반면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원하는 만큼 시간을 창조하고 생산한다"고 말한다.
시간이란 분할된 꾸러미들의 연속체라기보다 하나의 지속적인 흐름이며, 인간에 의해 정의되고 분석되고 측정되는 것이라는 얘기다. 잃어버렸다가 되찾는 게 아니므로 과학기술이 더 많은 시간을 갖게 해주지도 않는다.따라서 시간의 흐름 속에 몸을 내맡기거나 헤엄치는 것은 전적으로 선택의 문제다. 시간의 무늬는 스스로 디자인하기 나름이다.
시간에 대한 그의 명언은 에밀레종의 울림만큼 긴 여운을 남긴다. 다시 한번 차분하게 음미하며 나를 돌아보기로 하자.
“지난 세기의 위대한 인물들은 결코 서두르지 않았다. 그래서 세계는 그들을 성급하게 잊지 않는다.”
고두현 시인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