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폭염뿐 아니라 지구 곳곳 중태…학계도 경악

북대서양 온도 치솟고 남극 빙하 감소…산호초도 위기
6∼7월 해수면 평균 온도 작년보다 0.25도 상승 '이례적'
"우리는 이런 일들이 일어날 것을 알고 있었고 오랫동안 예상했다. 그러나 올해는 특히 매우 극단적인 것처럼 보이고 이례적 현상의 규모가 놀랍다."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31일(현지시간) 올해 여름 일부 기후변화 현상들은 너무나 비정상적이어서 과학계를 경악하게 하고 있다며 미국 태평양북서부국립연구소의 과학자 클라우디아 테발디의 이런 발언을 소개했다.

미국과 유럽 등 지구 북반구를 달군 기록적인 폭염뿐 아니라 바다 등 세계 곳곳에서 극단적 기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특히 북대서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과 남극 대륙의 얼음 감소가 과학자들을 걱정하게 한다.영국제도부터 뉴펀들랜드 해안까지 북대서양의 7월 해수면 온도는 지난달 평균보다 섭씨 10도나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름 형성 범위가 줄고 사하라 사막 분진의 영향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추론이 나오지만 과학자들은 북대서양 온도가 갑자기 오른 원인을 아직 확신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산하 고다드 우주연구소 소장인 개빈 슈미트는 "그것(북대서양 해수면 온도 상승)에 눈살이 찌푸려진다"며 "매우 빨리 진행되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북대서양뿐 아니라 지구 전체의 해수면 온도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올해 6월과 7월 지구 해수면 평균 온도는 작년 여름보다 거의 섭씨 0.25도 상승한 것으로 관측됐다.

지구 해수면 온도가 탄소 배출, 온실효과 등으로 10년 동안 섭씨 0.15도 정도 올랐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례적이다.해양학자 그레고리 존슨은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 상승은 엘니뇨(적도 부근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오르는 현상)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며 매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올해 남극 대륙의 해빙이 형성되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사라질 시기가 다가오는 것은 아닌지 주시하고 있다.

나사 지구관측소에 따르면 지난 2월 2일 남극 해빙의 범위는 179만㎢로, 1979년 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소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2월 25일의 기존 최소치보다 13만㎢ 적은 수준이었다.

이후 남극 대륙이 겨울로 접어들면서 해빙이 다시 커지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매우 작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30일 CNN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립설빙데이터센터(NSIDC)는 현재 남극의 겨울 해빙 규모가 지난해 기록한 역대 최소치보다 160만㎢ 정도 작은 상태라고 밝혔다.
미국 플로리다 남부에서는 해수면 온도 상승이 산호초 보호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 산하 국립 데이터 부표 센터(NDBC)는 지난 24일 오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남쪽으로 약 64㎞ 떨어진 매너티 베이의 수심 1.5m에 있는 한 부표에서 측정된 수온이 섭씨 38.4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수온의 급격한 상승은 병원균으로 인한 산호초 질병을 늘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영리단체 산호복원재단은 최근 마이애미 남부 해상의 솜브레로 지역에서 산호초가 100% 폐사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지구의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1도 정도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WP는 이런 지구 온난화 추세가 계속된다면 결국 산호초 소멸과 빙하 감소에 따른 광범위한 해수면 상승, 아마존 열대우림 같은 중요한 생태계 소멸 등의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