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소비 촉진책 쏟아내지만…"주민 소득 개선 등 알맹이 빠져"
입력
수정
당국, 소득 증대 방안 질문에 언급 회피…누리꾼 "수중에 돈 들려줘야"
중국이 더딘 경제 회복을 위해 다양한 소비촉진책을 쏟아내지만, 소득 증대나 실업 문제 해결 등 알맹이가 빠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거시경제 주무 기구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공업정보화부, 상무부, 문화여유부, 시장감독관리총국과 함께 지난달 31일 '소비 회복 및 확대에 관한 20개 조치'를 발표했다.
국영 기업과 대기업 등 일부에서만 제대로 시행하는 유급 휴가제를 전면 시행하고, 탄력 근무제를 장려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관광 인프라 개선, 여러 관광지를 함께 관람할 수 있는 공동 입장권 발매, 야간 관광 활성화, 다양한 문화·예술 축제 개최 등 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도 밝혔다. 여가 문화를 활성화해 내수 소비를 촉진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려는 의도로 분석됐다.
또 노후 자동차 교체 지원과 노후 주택 단지 리모델링 및 농촌 주택 주거 환경 개선 지원도 약속했다.
앞서 발개위와 상무부 등 13개 부서는 지난달 18일 가계 소비 진작을 위한 11개 정책을 별도로 내놓은 바 있다. 여기에는 각 지방정부가 주민들의 친환경 가구·전자제품·주택 구입을 지원하고 장려하며 스마트 가전제품 신규 구매 지원, 금융기관의 주택 매수용 대출에 대한 신용 지원 강화 등이 담겼다.
중국 최고 지도부인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24일 자동차·전자제품·가구 등 상품과 체육·레저·문화·여행 등 분야의 서비스 소비 확대를 포함한 내수 부진 타개책을 중국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중국인 자산의 70%가 묶여 있는 부동산 시장 부양책도 내놨다. 니훙 주택도시농촌건설부장은 지난달 국유·민간 부동산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에서 과거 장만한 집을 처분한 사람들이 구매하는 주택을 생애 첫 주택으로 인정,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첫 지불금인 서우푸(首付) 납부 비율 우대 혜택을 주겠다고 밝혔다.
또 주거 환경 개선 목적으로 주택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구매세도 면제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 당국은 2020년 10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의 당국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 이후 대대적으로 진행했던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때리기를 중단한 뒤 민간 기업들과 잇단 간담회를 여는 등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며 투자 확대 유도에도 나섰다.
2분기 경제 성장률(6.3%)이 시장 기대치(7%)에 못 미치는 등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으로 나선 모양새다.
그러나 경제 활성화의 핵심일 수 있는 주민 소득 증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지난 3년여간 반복된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통제의 타격으로 중소 민간 기업들과 자영업자들이 도산하거나 심각한 운영난에 직면했지만, 중국은 지금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재난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중국의 저명 경제학자들이 감세 등 간접적인 지원책으로는 경제 활성화를 꾀하기 어렵다며 코로나19 피해 주민 구제를 위해 현금을 지급할 것을 여러 차례 건의했으나 당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6월 16∼24세 청년 실업률이 21.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석 달 연속 20%를 웃돌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취업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소비하면 지원해주겠다는데 수중에 돈이 있어야 소비를 할 것 아니냐"거나 "경제력 있는 사람들은 정부 지원을 받아 차도 바꾸고, 주택도 리모델링할 수 있겠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한 중국인은 "지금 가장 중요한 정책은 어떻게 소비를 유도할 것이냐가 아니라 백성들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게 하느냐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날 발개위의 소비 회복 및 확대 20개 조치 발표 기자회견에서 리춘린 발개위 부주임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소비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며 "주민 소득 성장과 경제 성장 동행을 추동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이미 충분히 설명했으며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고 답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보도했다. 이 매체는 "소비력 향상을 위해 국민 소득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이지만, 중국 당국은 원론적인 발표 이외에는 구체적인 소득 개선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중국이 더딘 경제 회복을 위해 다양한 소비촉진책을 쏟아내지만, 소득 증대나 실업 문제 해결 등 알맹이가 빠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거시경제 주무 기구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공업정보화부, 상무부, 문화여유부, 시장감독관리총국과 함께 지난달 31일 '소비 회복 및 확대에 관한 20개 조치'를 발표했다.
국영 기업과 대기업 등 일부에서만 제대로 시행하는 유급 휴가제를 전면 시행하고, 탄력 근무제를 장려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관광 인프라 개선, 여러 관광지를 함께 관람할 수 있는 공동 입장권 발매, 야간 관광 활성화, 다양한 문화·예술 축제 개최 등 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도 밝혔다. 여가 문화를 활성화해 내수 소비를 촉진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려는 의도로 분석됐다.
또 노후 자동차 교체 지원과 노후 주택 단지 리모델링 및 농촌 주택 주거 환경 개선 지원도 약속했다.
앞서 발개위와 상무부 등 13개 부서는 지난달 18일 가계 소비 진작을 위한 11개 정책을 별도로 내놓은 바 있다. 여기에는 각 지방정부가 주민들의 친환경 가구·전자제품·주택 구입을 지원하고 장려하며 스마트 가전제품 신규 구매 지원, 금융기관의 주택 매수용 대출에 대한 신용 지원 강화 등이 담겼다.
중국 최고 지도부인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24일 자동차·전자제품·가구 등 상품과 체육·레저·문화·여행 등 분야의 서비스 소비 확대를 포함한 내수 부진 타개책을 중국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중국인 자산의 70%가 묶여 있는 부동산 시장 부양책도 내놨다. 니훙 주택도시농촌건설부장은 지난달 국유·민간 부동산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에서 과거 장만한 집을 처분한 사람들이 구매하는 주택을 생애 첫 주택으로 인정,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첫 지불금인 서우푸(首付) 납부 비율 우대 혜택을 주겠다고 밝혔다.
또 주거 환경 개선 목적으로 주택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구매세도 면제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 당국은 2020년 10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의 당국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 이후 대대적으로 진행했던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때리기를 중단한 뒤 민간 기업들과 잇단 간담회를 여는 등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며 투자 확대 유도에도 나섰다.
2분기 경제 성장률(6.3%)이 시장 기대치(7%)에 못 미치는 등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으로 나선 모양새다.
그러나 경제 활성화의 핵심일 수 있는 주민 소득 증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지난 3년여간 반복된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통제의 타격으로 중소 민간 기업들과 자영업자들이 도산하거나 심각한 운영난에 직면했지만, 중국은 지금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재난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중국의 저명 경제학자들이 감세 등 간접적인 지원책으로는 경제 활성화를 꾀하기 어렵다며 코로나19 피해 주민 구제를 위해 현금을 지급할 것을 여러 차례 건의했으나 당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6월 16∼24세 청년 실업률이 21.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석 달 연속 20%를 웃돌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취업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소비하면 지원해주겠다는데 수중에 돈이 있어야 소비를 할 것 아니냐"거나 "경제력 있는 사람들은 정부 지원을 받아 차도 바꾸고, 주택도 리모델링할 수 있겠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한 중국인은 "지금 가장 중요한 정책은 어떻게 소비를 유도할 것이냐가 아니라 백성들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게 하느냐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날 발개위의 소비 회복 및 확대 20개 조치 발표 기자회견에서 리춘린 발개위 부주임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소비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며 "주민 소득 성장과 경제 성장 동행을 추동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이미 충분히 설명했으며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고 답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보도했다. 이 매체는 "소비력 향상을 위해 국민 소득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이지만, 중국 당국은 원론적인 발표 이외에는 구체적인 소득 개선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