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 "3차원 스페로이드 이용해 전이성 방광암 새 약제 발굴"

국내 연구팀이 3차원 종양세포(스페로이드) 모델을 활용해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제로 개발된 약제(CUDC-907)가 방광암 세포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기존 치료제 내성을 극복한 새 치료법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상철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은 방광암 '3차원 스페로이드 모델'을 구축한 뒤 CUDC-907을 노출시켰더니 암 성장이 억제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온콜로지리포츠(Oncology Reports)에 실렸다.방광암은 전립선암, 신장암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비뇨기계암이다. 여성보다 남성에게 흔하다. 임파선, 폐 등 다른 장기로 퍼지는 전이성 방광암은 완치가 상당히 어렵다.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 등을 치료에 활용하지만 환자 생존율 향상은 미미한 수준이다. 새 약물 수요가 높은 이유다.

이 교수팀은 3차원으로 배양된 세포의 원형 집합체인 스페로이드를 활용해 방광암 모델을 만들었다. 이후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제로 개발된 약제인 미국 바이오기업 큐리스의 'CUDC-907'이 농도에 따라 방광암 스페로이드 크기와 세포 생존율을 낮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교수팀은 CUDC-907이 암 세포 전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피-간엽 이행'을 억제하고,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약효를 낸다는 것도 증명했다.

이 약물은 방광암 세포 이동도 억제했다. CUDC-907을 활용해 거대 B세포 림프종, 갑상샘암, 유방암 등의 임상연구를 한 적은 있지만 방광암 대상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방광암 스페로이드 모델을 통해 난치 질환인 전이성 방광암에서 항암 내성 기전을 극복하는 새 약제를 발굴했다"며 "3차원 스페로이드 모델은 생체 조직과 유사성이 높고 동물 모델보다 윤리적·경제적 부담이 적어 질환 모델링, 질병 메커니즘 연구,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