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무관세 수입' 한 달…그런데 가격은 왜 오르지?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입력
수정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 닭고기 약 3만t에 할당 관세를 적용했지만 육계 소비자 가격은 점차 오르고 있다. 수입 닭고기는 대부분 가공식품 제조, 외식 프랜차이즈 등 기업간거래(B2B) 채널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소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설명이다. 사룟값 상승이나 폭우 등의 자연재해로 사육 규모가 줄어 육계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반면 삼계탕이나 닭볶음탕을 위해 가정에서 주로 구입하는 닭은 국산 냉장 닭이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여름철은 보양식 수요가 증가해 생닭 가격이 오르는 시기”라며 “수입 냉동육이 생계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중순에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폭우가 내리며 종계(번식을 위한 닭)가 집단 폐사하기도 했다. 이는 병아리 입식(병아리를 가져와 키우는 것) 마릿수 감소로 이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월과 8월의 병아리 입식 마릿수가 각각 전년대비 3.2%, 0.7%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같은 기간 육계 도축 마릿수도 지난해 대비 4.5~4.9% 줄어들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수입산 할당관세 조치가 없었다면 닭고기 가격이 더욱 폭등했을 것”이란 입장이다. 외식업계의 육계 수요 일부를 수입산이 대체한 덕에 국산 닭고기 가격 상승을 일부 방어할 수 있었다는 논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종계 생산성이 저하되며 병아리 공급이 줄었다”며 “축산계열화사업자의 병아리 추가 입식을 독려하고 닭고기 공급물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
할당관세 적용된 닭고기 대부분 통관 마쳐
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할당관세가 적용되는 닭고기 물량(2만9800t)의 94.5%인 2만8160t이 통관을 마쳤다. 정부는 지난달 1일부터 닭고기 할당관세를 추진했다. 통관된 물량은 이달 말까지 시중에 공급될 예정이다.할당관세 적용 한 달이 지났지만 수입산 닭고기가 육계 시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실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1일 기준 닭고기 1㎏는 소매 시장에서 6349원에 거래됐다. 한 달 전(6271원)보다 소폭 올랐고 작년(5702원)과 비교하면 11.3% 비싸졌다.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생닭도 한 달 새 가격이 상승했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는 생닭 1㎏가 8000원~1만원 사이에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달보다 10% 이상 오른 가격이다.이같은 괴리는 수입 닭고기와 소비자들이 주로 구매하는 닭의 사용처가 다른 것에서 나온다. 수입 닭고기는 뼈 없는 순살로, 냉장이 아닌 냉동 상태로 국내에 반입된다. 대부분 외식업체나 가공식품 제조에 활용된다.반면 삼계탕이나 닭볶음탕을 위해 가정에서 주로 구입하는 닭은 국산 냉장 닭이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여름철은 보양식 수요가 증가해 생닭 가격이 오르는 시기”라며 “수입 냉동육이 생계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생산비 증가에 사육 감소
수요는 늘었지만 공급은 구조적으로 줄고 있다. 생산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글로벌 곡물 가격 상승으로 사룟값 부담이 확대됐다. 닭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사육장 온도를 27℃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냉방장치도 가동한다.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폐업이 잇따르는 이유다.지난달 중순에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폭우가 내리며 종계(번식을 위한 닭)가 집단 폐사하기도 했다. 이는 병아리 입식(병아리를 가져와 키우는 것) 마릿수 감소로 이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월과 8월의 병아리 입식 마릿수가 각각 전년대비 3.2%, 0.7%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같은 기간 육계 도축 마릿수도 지난해 대비 4.5~4.9% 줄어들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수입산 할당관세 조치가 없었다면 닭고기 가격이 더욱 폭등했을 것”이란 입장이다. 외식업계의 육계 수요 일부를 수입산이 대체한 덕에 국산 닭고기 가격 상승을 일부 방어할 수 있었다는 논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종계 생산성이 저하되며 병아리 공급이 줄었다”며 “축산계열화사업자의 병아리 추가 입식을 독려하고 닭고기 공급물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