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더위'에 피해 속출…광주·전남 곳곳이 비상

전날 온열 사망자 2명 발생…2021년 이후 2년만
가축 1만2천마리 폐사…녹조 현상에 정전까지
광주·전남 전역에 폭염특보가 10일째 이어지면서 온열 사망자가 잇따르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3일 광주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낮 최고 체감기온은 전남 담양군 36.3도, 구례군 36.1도, 광주 광산구 36도, 화순군 백아면 35.8도, 영광군 35.5도, 곡성군 35.5도, 해남 땅끝 35.4도 등을 기록했다.

전날에는 올해 처음으로 지역 내 온열 사망자가 잇따랐다.

2021년 광주에서 1명이 숨진 이후 2년 만이다. 전날 오후 5시께 전남 영암군 삼호읍 대불산단 인근 길거리에서도 몽골 국적의 53세 남성이 의식 없이 쓰러져 있는 것을 행인이 보고 신고했다.

발견 당시 체온계가 측정할 수 있는 상한인 42도의 체온을 보인 이 남성은 결국 숨졌다.

당국은 이 남성이 여행 비자를 받아 2~3일전 입국한 사실을 확인하고 당일 오전 구체적인 행적을 파악하고 있다. 전날 폐지를 수집하고 귀가한 67세 여성도 오후 3시 37분께 광주 동구 소태동 자택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사망 당시 체온은 41.5도로 측정돼 의료진은 온열 관련 사망으로 판단했다.

심각한 상태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호흡 곤란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등 온열질환자도 잇따르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응급실 감시체계를 기준으로 5월 20일부터 전날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를 집계한 결과 광주 31명, 전남에서 80명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선 1천385명이 온열질환으로 병원 치료를 받았는데 이 가운데 81%가 작업장(442명)이나 논밭(206명), 길가(152명) 등 실외에서 발생한 환자로 파악됐다.

이에 정의당 광주시당은 "공공기관이 재난 문자만 보내지 말고 작업중지와 노동자 휴식이 제대로 이뤄지도록 감시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전남도는 이날부터 독거노인, 노숙자 등 사회취약계층, 공사장 야외근로자, 고령 농업인 등 폭염 3대 취약 분야 집중관리 및 점검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또 온열질환 응급실 44개소에 대한 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119 폭염구급대 운영 등으로 인명피해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 7시 15분께 광주 서구 치평동 일대가 변압기 고장으로 정전이 발생해 인근 아파트·오피스텔에 거주하는 400여 세대가 폭염에 진땀을 흘려야 했다.

한전 측은 "변압기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라며 "상가 지역에서 이른 아침 발생한 정전이어서 과도한 전력 사용으로 인한 고장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체적으로 전력 수급에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무더위가 이어지자 상습적으로 녹조가 발생하는 서구 풍암호수에는 어김없이 녹조 현상이 발생했다.

도심 속 휴식 공간이지만 최근 폭염이 지속하면서 녹조 농도는 점점 짙어지고 있다.

더위를 이기지 못하고 폐사하는 가축도 늘어나고 있다.

전남에서는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3일 동안 13개 시군에서 가축 1만2천116마리가 폐사했다.

더위에 약한 가금류 피해가 가장 컸다.

닭을 키우는 11개 농가에서 1만1천600마리가 죽었고, 오리 3개 농가 262마리가 폐사했다.

더위를 이기지 못한 돼지도 21개 농가에서 254마리가 죽은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3만7천마리가 폐사한 것에 비하면 32.5%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가축 폭염피해 예방을 위해 62억원을 투입해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양제와 비슷한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를 3천개 농가에 제공하고 축사 시설 현대화와 지붕 열차단재 도포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가축 재해보험 가입비 등을 지원해 현재 91.2% 농가가 보험에 가입한 상태다.

이날부터 독거노인, 노숙자 등 사회취약계층, 공사장 야외근로자, 고령 농업인 등 폭염 3대 취약 분야 집중관리 및 점검을 강화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폭염 대책을 강화해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