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손 우위의 시대'…기관투자자 모시기 출혈경쟁 나선 펀드
입력
수정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펀드 관리 수수료를 환급하는 등 기관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출혈 경쟁에 나서고 있다.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고육지책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몇달 사이에 CVC캐피털 파트너스를 비롯해 아르디안, TPG, 신벤 등 우량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기관투자자들에 관리 수수료 할인 등 파격 제안을 늘리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들 중 일부는 당초 펀드 매니저 몫인 관리 수수료의 일부를 환급하는 형태로 대형 기관투자자들을 유인하고 있다.
공동투자(co-investment) 지분을 늘리는 조건을 내거는 운용사도 있다. 공동투자란 사모펀드 운용사가 기업 인수에 나설 때 기관투자자가 함께 참여해 해당 기업의 소수 지분을 직접 사들이는 거래를 말한다. 기관투자자가 직접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역시 운용사에 수수료를 줄 필요가 없다. 관리 수수료 차등화 정책도 도입됐다. CVC는 다른 투자자들에는 평균 1.5% 가량의 관리 수수료를 부과하지만, 대형 투자기관에는 1.375% 수수료를 청구하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사모펀드 운용사의 거래를 자문하는 투자은행 레이몬드 제임스의 한 이사는 "대부분의 우리 고객사(사모펀드 운용사)가 기관투자자들이 가능한 빨리, 많은 투자금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각종 유인책을 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기관투자자 우위의 시장이 형성된 것은 코로나19와 각국 중앙은행들의 긴축(금리 인상) 등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베인앤컴퍼니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사모펀드 운용사들의 펀드 모금액이 전년 동기보다 35% 줄어든 5170억달러에 그쳤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에 의하면 올해 전 세계 사모펀드 업계에는 운용사가 3달러를 조달할 때마다 기관투자자는 1달러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 베인앤컴퍼니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상 최악의 시장 불균형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기관투자자들이 사모펀드 분야에 대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기관투자자들이 사모펀드 운용사에 내야 하는 수수료는 통상 2% 내외의 관리 수수료, 20% 이상의 성과 인센티브 등으로 금융서비스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운용사들의 수수료 할인 경쟁은 차제에 기관투자자들의 총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