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일종, BTS 잼버리 동원 비판에 "난 軍면제 주장…의견 낸 것뿐"
입력
수정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방탄소년단(BTS)을 잼버리 K팝 콘서트에 출연할 수 있도록 국방부가 힘을 써달라고 말했다 '차출 논란'이 일자 "한국에 대한 아름다운 추억, 잊지 못할 자산을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을 줬으면 좋겠다고 요청을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성 의원은 9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군대 보낼 때는 언제고 잼버리 수습은 BTS보고 하라느냐고 오해를 하시는 것 같은데 BTS 병역면제 법안을 냈던 의원이 바로 저"라고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BTS는 대한민국의 보배다. 한류를 전 세계에 아주 수준 높게 이끌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의 최전방에 서 있는 최고의 아티스트들"이라며 "4만3000명의 세계 청소년들이 우리나라에 왔는데, 한국의 역동성이나 신비감 또 K팝에 대한 동경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이 온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누구보다도 이 자산적 가치를 알고,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뮤지션들이 바로 BTS이기 때문에 제가 (BTS) 군 면제를 추진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권위적으로 가수를 동원 대상으로 보고 수단화하는 것'이라는 지적에는 "혹시 가능한지 검토해서 필요하면 내보내면 좋겠다는 의견을 낸 것"이라며 "물론 아티스트들이 공백기가 있었기 때문에 완전체가 되긴 어려울 것이다. 그런 것들은 함께 논의해 볼 필요성이 있었다"고 답했다. 성 의원은 BTS의 잼버리 K팝 공연 참여에 관해 실제 논의가 이뤄졌는지는 "확인하지 않았다"며 "제가 국방위원이기 때문에 의견을 내면 정부가 분석하고 가능성도 타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의견을 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성 의원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만금에서 개최된 잼버리는 준비 부족과 미숙한 운영으로 국격이 추락하는 행사였다. 소중한 손님들에게 새만금에서의 부족했던 일정들을 대한민국의 문화의 힘으로 채워줄 필요가 있다"고 썼다.
그러면서 국방부에 "군인 신분인 BTS가 모두 함께 참여해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일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BTS 팬들은 잼버리 파행의 뒷수습을 BTS에 시키려는 권위주의적 발상이라며 반발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성 의원은 9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군대 보낼 때는 언제고 잼버리 수습은 BTS보고 하라느냐고 오해를 하시는 것 같은데 BTS 병역면제 법안을 냈던 의원이 바로 저"라고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BTS는 대한민국의 보배다. 한류를 전 세계에 아주 수준 높게 이끌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의 최전방에 서 있는 최고의 아티스트들"이라며 "4만3000명의 세계 청소년들이 우리나라에 왔는데, 한국의 역동성이나 신비감 또 K팝에 대한 동경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이 온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누구보다도 이 자산적 가치를 알고,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뮤지션들이 바로 BTS이기 때문에 제가 (BTS) 군 면제를 추진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권위적으로 가수를 동원 대상으로 보고 수단화하는 것'이라는 지적에는 "혹시 가능한지 검토해서 필요하면 내보내면 좋겠다는 의견을 낸 것"이라며 "물론 아티스트들이 공백기가 있었기 때문에 완전체가 되긴 어려울 것이다. 그런 것들은 함께 논의해 볼 필요성이 있었다"고 답했다. 성 의원은 BTS의 잼버리 K팝 공연 참여에 관해 실제 논의가 이뤄졌는지는 "확인하지 않았다"며 "제가 국방위원이기 때문에 의견을 내면 정부가 분석하고 가능성도 타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의견을 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성 의원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만금에서 개최된 잼버리는 준비 부족과 미숙한 운영으로 국격이 추락하는 행사였다. 소중한 손님들에게 새만금에서의 부족했던 일정들을 대한민국의 문화의 힘으로 채워줄 필요가 있다"고 썼다.
그러면서 국방부에 "군인 신분인 BTS가 모두 함께 참여해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일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BTS 팬들은 잼버리 파행의 뒷수습을 BTS에 시키려는 권위주의적 발상이라며 반발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