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교육 실종된 10대 경제 강국의 민낯

경제 교육이 실종되다시피 했다. 지난 6월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5%에 그쳤다. 2023학년도 수능에선 1.1%에 불과했다. 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하려는 수험생마저 경제 수업을 듣지 않을 정도이니 심각한 문제다. 게다가 교과목 개편으로 2028학년도 수능에서 경제가 퇴출될 위기에 몰렸다. 이대로 가면 ‘경제 문맹’을 양산할 우려가 커 교육 시스템 개편이 시급하다.

교육 과정부터 문제다. 현재 고교 경제 교육은 문·이과 공통 과정인 통합사회와 선택 과정인 경제 과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통합사회는 경제 및 금융 관련 단원이 한 개밖에 없다 보니 경제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19년 기준 전국 고교 중 학생의 과목 선택이 시작되는 2학년에 경제를 개설한 학교는 27.4%에 불과했다. 고교 내신, 수능에서 경제를 선택한 소수를 제외하면 경제를 배울 기회가 거의 없는 게 10대 경제 강국의 민낯이다. 그러다 보니 기획재정부의 지난해 조사에서 고교생 중 환율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24.7%만이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의 올해 고교생 조사에선 금융이해력 점수가 46.8점으로, 미국 금융교육기관이 설정한 낙제 점수(60점)에 크게 모자랐다. 고교생 중 29%만이 신용카드 사용이 빚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조사도 있었다.

경제 교육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 시장, 기업, 돈, 부에 대한 올바른 사고를 길러야 합리적인 경제행위를 영위할 수 있다. 미래 주역들에게 시장경제 원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선 나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적어도 투자와 투기의 차이를 알아야 일확천금의 한탕주의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경제교육지원법에도 경제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충분한 교육 제공을 명시하고 있다. 이제라도 경제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꼭 배우게 해야 한다. 교재도 보다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 경제가 어렵다는 편견을 없애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