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교육 실종된 10대 경제 강국의 민낯
입력
수정
지면A35
경제 교육이 실종되다시피 했다. 지난 6월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5%에 그쳤다. 2023학년도 수능에선 1.1%에 불과했다. 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하려는 수험생마저 경제 수업을 듣지 않을 정도이니 심각한 문제다. 게다가 교과목 개편으로 2028학년도 수능에서 경제가 퇴출될 위기에 몰렸다. 이대로 가면 ‘경제 문맹’을 양산할 우려가 커 교육 시스템 개편이 시급하다.
교육 과정부터 문제다. 현재 고교 경제 교육은 문·이과 공통 과정인 통합사회와 선택 과정인 경제 과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통합사회는 경제 및 금융 관련 단원이 한 개밖에 없다 보니 경제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19년 기준 전국 고교 중 학생의 과목 선택이 시작되는 2학년에 경제를 개설한 학교는 27.4%에 불과했다. 고교 내신, 수능에서 경제를 선택한 소수를 제외하면 경제를 배울 기회가 거의 없는 게 10대 경제 강국의 민낯이다. 그러다 보니 기획재정부의 지난해 조사에서 고교생 중 환율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24.7%만이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의 올해 고교생 조사에선 금융이해력 점수가 46.8점으로, 미국 금융교육기관이 설정한 낙제 점수(60점)에 크게 모자랐다. 고교생 중 29%만이 신용카드 사용이 빚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조사도 있었다.
경제 교육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 시장, 기업, 돈, 부에 대한 올바른 사고를 길러야 합리적인 경제행위를 영위할 수 있다. 미래 주역들에게 시장경제 원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선 나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적어도 투자와 투기의 차이를 알아야 일확천금의 한탕주의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경제교육지원법에도 경제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충분한 교육 제공을 명시하고 있다. 이제라도 경제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꼭 배우게 해야 한다. 교재도 보다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 경제가 어렵다는 편견을 없애야 한다.
교육 과정부터 문제다. 현재 고교 경제 교육은 문·이과 공통 과정인 통합사회와 선택 과정인 경제 과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 통합사회는 경제 및 금융 관련 단원이 한 개밖에 없다 보니 경제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19년 기준 전국 고교 중 학생의 과목 선택이 시작되는 2학년에 경제를 개설한 학교는 27.4%에 불과했다. 고교 내신, 수능에서 경제를 선택한 소수를 제외하면 경제를 배울 기회가 거의 없는 게 10대 경제 강국의 민낯이다. 그러다 보니 기획재정부의 지난해 조사에서 고교생 중 환율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24.7%만이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의 올해 고교생 조사에선 금융이해력 점수가 46.8점으로, 미국 금융교육기관이 설정한 낙제 점수(60점)에 크게 모자랐다. 고교생 중 29%만이 신용카드 사용이 빚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조사도 있었다.
경제 교육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 시장, 기업, 돈, 부에 대한 올바른 사고를 길러야 합리적인 경제행위를 영위할 수 있다. 미래 주역들에게 시장경제 원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고선 나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적어도 투자와 투기의 차이를 알아야 일확천금의 한탕주의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경제교육지원법에도 경제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충분한 교육 제공을 명시하고 있다. 이제라도 경제를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꼭 배우게 해야 한다. 교재도 보다 쉽고 재미있게 만들어 경제가 어렵다는 편견을 없애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