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년 만에 돌아오는 中 유커…김칫국부터 마실 일 아니다
입력
수정
지면A35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 시작 3년여 만에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이로써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계기로 중단됐던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6년5개월 만에 재개된다. 중국인 개별 관광객보다 객단가가 높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귀환 소식에 관광업계를 비롯해 면세점, 호텔 등 관련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주식시장에선 화장품·카지노·숙박주 등이 ‘중국 리오프닝(관광활동 재개)주’로 엮이며 주가가 치솟았다.
분명 반가운 소식이지만 마냥 들뜰 일이 아니다. 한때 전체 외래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이 47%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던 ‘유커(중국인 관광객) 특수’를 기대하기 어려워져서다. 사드 배치 이후 한·중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중국인들 사이에 반한(反韓) 감정이 생겨난 데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여행지도 일본, 유럽, 미국 등으로 다변화한 탓이다. 이런 상황에 주변국 경쟁도 치열하다. 일본은 엔화 약세를 앞세워 소비세 면세 제도를 확대하는 등 일찌감치 유커 맞이 준비에 나섰다. 한국이 더 이상 중국과의 지리적 인접성과 쇼핑 매력만으로 유커를 유혹하기엔 역부족이다. 더욱이 한국 여행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중국인 여행객을 ‘걸어 다니는 지갑’으로만 여겨 저가 여행과 바가지 상술이 만연한 결과다. 이런 탓에 유커의 재방문율은 20% 안팎에 불과하다.중국 내부 상황도 변수다.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이 얼어붙으면서 최근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5개국의 중국인 입국자 수는 2019년 대비 14~39% 줄었다. 이번 조치가 한한령(한류 제한령)의 전면 해제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것도 섣부르다. 방송·게임 등 다른 분야까지 비슷한 조치가 내려질지 의문이다. 미리 들떴다간 실망만 키우기 십상이다.
미·중 간 신경전이 갈수록 격화하면서 중국 정부 방침이 언제 바뀔지도 모를 일이다. 올초 코로나19 확진자가 줄면서 60개국에 단체여행 빗장을 풀었지만, 한국과 미국·일본행은 지금껏 막아왔다. 우리는 차분하게 유커를 맞는 동시에 그동안 ‘양적 성장’에 초점을 둔 유치 정책을 서비스 질 개선과 고소득자·재방문자를 겨냥한 ‘질적 성장’으로 바꿔가야 한다. 중국인의 비즈니스 여행과 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등 마이스(MICE)를 확대하는 노력도 필수다.
분명 반가운 소식이지만 마냥 들뜰 일이 아니다. 한때 전체 외래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이 47%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던 ‘유커(중국인 관광객) 특수’를 기대하기 어려워져서다. 사드 배치 이후 한·중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중국인들 사이에 반한(反韓) 감정이 생겨난 데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여행지도 일본, 유럽, 미국 등으로 다변화한 탓이다. 이런 상황에 주변국 경쟁도 치열하다. 일본은 엔화 약세를 앞세워 소비세 면세 제도를 확대하는 등 일찌감치 유커 맞이 준비에 나섰다. 한국이 더 이상 중국과의 지리적 인접성과 쇼핑 매력만으로 유커를 유혹하기엔 역부족이다. 더욱이 한국 여행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중국인 여행객을 ‘걸어 다니는 지갑’으로만 여겨 저가 여행과 바가지 상술이 만연한 결과다. 이런 탓에 유커의 재방문율은 20% 안팎에 불과하다.중국 내부 상황도 변수다.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이 얼어붙으면서 최근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5개국의 중국인 입국자 수는 2019년 대비 14~39% 줄었다. 이번 조치가 한한령(한류 제한령)의 전면 해제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것도 섣부르다. 방송·게임 등 다른 분야까지 비슷한 조치가 내려질지 의문이다. 미리 들떴다간 실망만 키우기 십상이다.
미·중 간 신경전이 갈수록 격화하면서 중국 정부 방침이 언제 바뀔지도 모를 일이다. 올초 코로나19 확진자가 줄면서 60개국에 단체여행 빗장을 풀었지만, 한국과 미국·일본행은 지금껏 막아왔다. 우리는 차분하게 유커를 맞는 동시에 그동안 ‘양적 성장’에 초점을 둔 유치 정책을 서비스 질 개선과 고소득자·재방문자를 겨냥한 ‘질적 성장’으로 바꿔가야 한다. 중국인의 비즈니스 여행과 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등 마이스(MICE)를 확대하는 노력도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