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사우디·美 '이스라엘 수교' 큰 틀 합의…9개월~1년 걸릴 것"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스라엘과의 국교 정상화를 두고 미국과 큰 틀에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세부 사항 조율에는 시간이 상당히 걸릴 전망이다. 미 정부는 사우디와 논의를 진행중이라면서도 “성문화할 만큼 합의된 틀은 없다”고 밝혔다.

9일(현지시간) WSJ은 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국교 정상화를 향후 9개월~1년 사이에 실현할 가능성이 생겼다고 보도했다.WSJ에 따르면 미국과 사우디는 사우디·이스라엘 국교 정상화를 위한 대략적인 윤곽에 합의하고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단계에 들어갔다. 사우디와 이스라엘은 모두 이란을 종교적·군사적 적으로 두고 있다.

사우디는 미국이 자국의 민간 원자력 개발 프로그램을 돕고 방위 공약으로 자국의 안전을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민간에서의 원자력 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을 허용하고 기술 지원을 해달라는 요구다.

미국은 우라늄 농축 허용이 핵무기 개발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왔다. 그러나 지난달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회담을 계기로 진전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행정부는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국교 정상화에 공을 들여왔다. 러시아, 중국과 지정학적·경제적 갈등을 겪으며 중동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진 상황이다. 중국은 중동의 질서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미국의 입지를 넘보고 있고, 러시아는 산유국으로서 사우디의 감산 정책에 발을 맞추고 있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바이든 대통령은 어떤 대가를 지불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면서도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을 봉쇄하고 러시아를 고립시키며, 중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중국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이번 협상에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미국은 대신 사우디가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제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사우디는 최근 중국과의 밀착을 강화하고 있다. 원유 대금을 위안화로 결제하며 달러 패권에 균열을 냈고, 지난 3월 사우디는 중국의 중재로 이란과의 국교 정상화에 합의했다.

소식통들은 미국이 사우디에 중국이 사우디 내 군사 기지를 건설하지 않도록 보장할 것과 화웨이 등 중국 제품 및 기술 사용 제한, 원유 대금의 달러 결제 보장 등을 요구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미국은 또 사우디의 최근 원유 감산으로 인한 갈등을 해소할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변수는 팔레스타인이 될 것이라는 게 WSJ의 전망이다. 팔레스타인을 두고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입장이 첨예하기 갈리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이스라엘에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최근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급습하는 등 군사 작전을 벌이고 있다.

사우디는 이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을 표명해 왔다.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는 참모들에게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수립에 반대하는 이스라엘 강경 연립정부와는 국교 정상화에 서두르지 않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네탸나후 총리는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은 (국교 정상화에) 큰 문제가 아니”라면서도 팔레스타인을 정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사진=연합뉴스
다만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은 WSJ 보도에 대해 “아직 성문화할 만큼 합의된 틀이 없다”며 “중동 지역에서의 안보 관련 사항도 합의되지 않았다”고 축소했다. 그는 “협정을 만들어 서명하기 전 많은 대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와 이스라엘 국교 정상화를 두고 논의하는 것은 맞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아직 내지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사우디와) 생산적인 대화가 있었다”며 “앞으로 더 많은 대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고 밝혔다.그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미국 내에서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