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공간을 옮긴다”…천으로 만든 한옥으로 세계를 홀린 서도호
입력
수정
얇은 천으로 '이동하는 집' 만드는 설치미술가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리움미술관에는 '불문율'이 하나 있었다. 작고한 거장들의 개인전만 연다는 것이다. 2012년 리움미술관이 처음으로 살아있는 작가의 개인전을 연다고 발표했을 때 미술계가 떠들썩했던 건 그래서였다.
생존 작가 최초로 리움 개인전 연 거장
CJ문화재단 다큐멘터리 상영 기념해 방한
"집은 마치 옷 같아...건축은 옷의 확장판
내 작품엔 과거·현재·미래가 모두 담겨있어"
설치미술가 서도호(61)가 바로 그 작가다. 당시 50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이미 미국 뉴욕 휘트니 미술관, 영국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 일본 도쿄 모리 미술관 등 세계 유명 미술기관에서 전시를 열 정도로 인정받던 작가다. 지금은 현재 뉴욕에서 살며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그런 서도호가 지난 9일 저녁 서울 용산CGV에 등장했다. CJ문화재단이 만든 다큐멘터리 '서도호의 움직이는 집들' 상영회 겸 대담회를 위해서다. 1시간에 걸친 다큐멘터리 상영 후 무대에 오른 서도호는 관객 앞에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큐레이터와 약 30분간 대담했다. 300석에 달하는 상영관 좌석은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부부부터 어린아이까지 세계적인 예술가를 만나기 위한 관객들로 가득 찼다.
이날 상영된 다큐멘터리는 2012년 리움미술관에서 열었던 개인전을 중심으로 그가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담았다. 11년 전 리움미술관이 그를 택한 건 '집' 때문이었다. 그는 어렸을 적 서울 성북동에서 지냈던 한옥, 미국 뉴욕 유학 시절 묵었던 아파트 등의 공간을 폴리에스터 천으로 한땀한땀 꿰매 작품으로 만든다. 복도, 문고리, 세면대, 가스레인지, 욕조, 전등 스위치 등 그가 몸 담았던 모든 공간의 디테일이 실제 크기 그대로 전시장에서 되살아난다.기억에 의존해 어림잡아 만들 법도 한데, 그는 대충 하는 법이 없다. "뉴욕에 세 들어 살던 집을 구현하기 위해 집주인에게 전체 집 크기를 실측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는데, 하다보니 6년이나 걸렸어요. 작품을 위해 사적인 공간을 개방해달라고 부탁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더군요."실사 크기로 만들어진 집을 더욱 압도적으로 만들어주는 건 '재료'다. 그는 폴리에스터 천이나 여름용 한복을 만들 때 쓰는 은조사로 집을 짓는다. 너무나 얇고 가벼운 나머지 빛이 그대로 투과된다. 이런 천으로 만든 거대한 집을 보고 있노라면 환상적이다 못해 비현실적인 느낌마저 든다."어느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집은 마치 옷과 같다고. 옷이 내 몸을 보호하듯이, 집은 사람을 보호해주는 공간이잖아요. 건축이 옷의 확장판이라고 생각한 거죠."
서도호는 이렇게 만든 집을 여행가방처럼 접어서 옮겨다닌다. 그럴 때마다 작품의 제목도 변한다. '서울 집', '서울 집/L.A. 집', '서울 집/L.A. 집/뉴욕 집', 이런 식으로 말이다."저는 시간과 공간은 함께 붙어다닌다고 생각해요. 제가 서울에서 만든 집을 다른 곳으로 옮긴 다음 들어가보면 옛날로 되돌아가는 듯한 '프루스트 효과'를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 제가 집을 보는 곳은 새로운 곳이잖아요. 동시에 미래에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다는 가능성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 제 작품이 시공간을 아우르는 '이동성'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이거야말로 제가 계속해서 붙잡아야 할 주제라고 생각합니다."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