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지 탈출만이 목표인 영화 한 편과 음악감독 한스 짐머
입력
수정
[arte] 코난의 맛있는 오디오

결국 누구도 승리하지 못했다. 애초에 전쟁 영웅의 무용담을 다룬 고전적 전쟁영화를 답습하는 것은 놀란의 관심사가 아니다. 아니, 오히려 그런 기존 전쟁영화의 서사를 완전히 반대로 뒤집어 놓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주요 타격지점을 정하고 전략적인 침투, 공격을 통해 뛰어난 용병술과 용맹을 겸비한 지휘자가 승리하는 쾌감 같은 건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이 영화는 도망가는 데 급급한 전사들의, 전사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내밀한 심리를 포착한다. 전투기에서 추락한 조종사와 첫아들을 전쟁에서 잃은 노인 도슨, 배를 타고 탈출하려는 영국 병사와 프랑스 병사들의 다툼에선 생존과 공존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극명하게 대비시킨다. 관찰이 아니라 일종의 체험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기 때문에 더 섬뜩하다.

그러나 관객은 알고 있다. 용맹한 전사들의 영토 탈환 작전이나 적국 독일에 대한 승리 따위가 아니라 그 처절하고 때로는 비겁하기도 했던 그들 모두가 영웅이라는 것을. 목숨을 구걸하며 끈질기게 그리고 치열하게 살아남아 결국 ‘공존’해 돌아온 그들. 그래서 탈출 작전 성공 후 배를 떠나보내며 남아 프랑스군을 돕겠다는 한 장군의 경례 장면은 무척 공허하게 다가온다. 기름 하나 묻히지 않은 말끔한 차림에 ‘고향’을 외치는 장군의 모습에선 놀란의 냉소적인 시선마저 느껴진다.
특히 단 하나의 음악은 이 영화를 마치 장엄한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다. 여러 척의 민간 어선들이 덩케르크 해안으로 밀려들어 오는 광경에서 눈시울을 붉히던 해군 중령을 비출 때 배경 음악은 절망을 기어코 희망으로 그 이름을 바꾼다. 영화의 최후반부에서 전투기 조종사로 분한 톰 하디가 엔진이 멈춘 비행기를 타고 덩케르크 해변에 간신히 착륙하는 장면에서 또 한 번 음악은 청중을 비장한 감정으로 몰고 간다.
이때 나오는 음악들은 에드워드 엘가의 ‘관현악을 위한 오리지널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다. 다른 말로 ‘수수께끼 변주곡’. 덩케르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곡은 그중에서도 ‘Nimrod’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보다는 소설이 낫다고, 영화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 영화는 소설 기반이 아니지만, 소설로 쓰여지기엔 영화적 문법과 시각, 청각적 임팩트의 융합이 일궈낸 파동이 너무나 크고 따라서 변환 불가능하다. 다른 장르가 아닌 오직 영화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대중예술이 있다는 걸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음악감독 한스 짐머, 엘가의 음악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덩케르크 탈출 작전은 한 편의 전쟁 시나리오와 뮤직비디오를 합해놓은 듯 강렬하며 독창적인 에너지를 생성해낸다. 덩케르크는 인터스텔라의 우주 공간을 전장으로 치환해 인셉션의 시공간 퍼즐 기법으로 변주한 놀란의 쾌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