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딩동댕유치원',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가진 新 캐릭터 등장
입력
수정

18일 방송되는 EBS 1TV '딩동댕 유치원'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별이'가 첫 등장한다. EBS 측은 "한국 유아·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캐릭터를 등장시켜, 그동안 지향해 온 '이해와 존중' 그리고 '통합교육'의 가치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소개했다.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며 활동이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특성을 보인다. 앞서 인기를 모았던 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주인공 우영우(박은빈 분)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앓았다.
'딩동댕 유치원' 제작진은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알고,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별이를 탄생시켰다. 별이는 몸이나 팔을 흔드는 상동행동을 보이고, 소음에 민감하며, 자동차 장난감을 유난히 좋아하는 등 같은 장애가 있는 이들이 흔히 보이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감각이 무척 예민하고, 눈 맞춤이 안 되거나 짧으며, 언어발달 지연 등 수많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징을 살핀 후, 캐릭터 별이를 일반적이되 특수 교육을 꾸준히 받아 온 유아로 설정했다"며 "'스펙트럼'이란 단어가 붙은 만큼,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장애를 설명하고 표현하기는 어려운 일이어서, 제작진 회의는 거듭 이어졌다"고 전했다.
별이를 연기할 손 인형 연기자와 담당 성우의 연구와 연습도 잇따랐다. 별이의 몸짓과 목소리를 직접 구사하는 데 있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특성인, 상동행동과 시각 추구, 호명 반응 등 드러나는 특징을 사실적으로 그려야만 했다. 잘못된 정보와 편견은 장애 아동에 대한 배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유아·어린이에게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정확하고 왜곡 없이 그려 이해시키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지점이었기 때문.'안녕, 별아' 편에 대해 제작진은 "타인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정착되는 유아·어린이 시기에 경계와 존중,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보다 폭넓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딩동댕 유치원'의 또 다른 도전"이라며 "제작진은 이번 도전이 '발달장애 아동 또한 우리 사회 구성원이며, 그들과 어우러져 살아가기 위해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는 토대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