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톡톡] "반박 시 네 말이 맞음"
입력
수정
지면A33
황인호 바운드포(Bound4) 대표“반박 시 네 말이 맞음.” 온라인과 소셜미디어에서 의견에 꼬투리 잡는 이용자에게 시비 걸지 말고 지나가라는 표현이다. 불필요하게 논쟁하고 싶지 않다는 의사 표시다. 이 문장은 노인과 질문자 대화를 밈(meme)으로 만든 이미지에서 기인한다. 질문자가 ‘영원한 행복의 비결’을 묻자 노인은 “바보들과 논쟁하지 않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에 “제 생각은 다릅니다”고 말하자 노인은 “당신 말이 맞습니다”고 답한다. 이 문장이 빠르게 사용되는 건 단순히 불필요한 논쟁 회피에 만능인 ‘활용성’ 때문이 아니다. 의미 없는 일에 시간을 쏟는 ‘비효율’과 갈등 대립으로 인한 ‘피로’를 느끼고 싶지 않은 마음을 잘 대변해서다. 문제는 사람과 마주하지 않고, 회피하려는 현상이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할지, 잘하는 일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진로’는 청년층 대상 가장 큰 고민을 묻는 설문에서 상위권을 놓치지 않는 문항이다. 하지만 모든 세대는 저마다의 방법으로 해답을 찾았다. 한 사람의 장래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타인의 조언이 실질적으로 장래를 결정하는 데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온전히 자신의 힘으로 해답을 찾고 방향을 잡아야 한다.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상대를 낮잡고, 폄훼하면서 타인을 회피하고, 마주하지 않는 건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인간은 공동체와 상호작용한다. 사회에 다양한 관점은 필연적이다.얼마 전 불확실성이 큰 시장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실패한 역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남한산성>을 읽었다. 조선 인조시대 청나라에 쫓겨 남한산성으로 피란을 간 ‘병자호란’이 배경이다. 작품은 주화파 최명길과 항쟁을 주장하는 척화파 김상헌 사이에 칼날보다 날이 선 공방이 주를 이룬다. 사대와 실리 사이에서 고심하는 가운데 인조의 근심은 더욱이나 깊게 느껴졌다. 인상 깊은 대목은 최명길과 인조의 대화였다. “전하, 신을 적진에 보내시더라도 상헌의 말(言)을 아주 버리지는 마소서.” “경의 말이 아름답다. 내가 경에게 하고자 했던 말이다. 아마 지금쯤 상헌의 생각도 경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내 그리 짐작한다.”
난제이고 주요한 쟁점일수록 내적 고민은 심화된다. 무조건적인 회피는 개인의 성장과 문제 해결에 ‘유해’하다. 낯선 생각과 의견에 열린 마음은 상처를 입을 수는 있어도 성장엔 ‘유익’하다. 다양한 관점은 타인에 대한 포용력을 넓힌다. 사람을 ‘얻는’ 하나의 지렛대다. 어쩌면 다양한 상황과 환경을 배척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선 더 큰 비효율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