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2분기 가계 실질소득 3.9%↓…17년만에 최대폭 감소
입력
수정
고금리로 이자비용 늘면서 가처분소득도 역대 최대폭 감소 고물가 등 영향으로 올해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로 이자비용 부담도 늘면서 가구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가처분 소득 감소는 소비지출 둔화로 이어지면서 서민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모양새다. ◇ 2분기 가계소득 0.8% 감소…"코로나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도"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8% 줄었다. 이는 2009년 3분기 1.3%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폭 감소다.
가구소득은 2021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뒤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올해 2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여기에 고물가 영향까지 겹치면서 실질소득은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해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9%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늘었다.
전 분기(8.6%)보다 증가 폭은 줄었지만, 고용 상황 호조세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사업소득은 원재료값 인상,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0.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2분기 높은 증가율(14.9%)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전소득은 지난해 지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손실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으로 19.6% 줄었다.
재산소득은 21.8% 늘었고 경조소득·보험금 수령 등 비경상소득은 12.5% 감소했다. ◇ 소비지출 늘었지만 둔화세 '뚜렷'…실질소비 마이너스 전환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4.1% 늘었다.
이 중 생활에 필요한 재화·서비스 구입 비용을 뜻하는 소비지출은 269만1천원으로 2.7% 늘었다.
해외여행 증가로 오락·문화 지출이 14.0% 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다.
외식비와 공공요금 물가 상승 등 영향으로 음식·숙박(6.0%), 주거·수도·광열(7.4%) 등의 지출도 증가했다.
전체 소비지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증가 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2분기 소비지출 증가 폭(2.7%)은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작았다.
결국 물가수준을 반영한 2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전년동기대비 0.5% 줄면서 2020년 4분기(-2.8%) 이후 10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비소비지출은 96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8.3% 증가했다.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42.4% 늘면서 1분기(42.8%)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 소비 증가로 취·등록세 지출이 늘면서 비경상 조세도 95.0% 늘었다. ◇ 이자비용 늘면서 실제 쓸 수 있는 생활비 줄어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1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8%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소득이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비소비지출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탓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4만1천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3.8% 줄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9.8%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전년 동기 대비 3.8%포인트 상승한 70.2%로 집계됐다. 이진석 과장은 "소비지출이 10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긴 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보복심리 성향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가처분 소득도 역대 최대 폭으로 줄면서 전체 (실질) 소비도 줄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가처분 소득 감소는 소비지출 둔화로 이어지면서 서민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모양새다. ◇ 2분기 가계소득 0.8% 감소…"코로나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도"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8% 줄었다. 이는 2009년 3분기 1.3%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폭 감소다.
가구소득은 2021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뒤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올해 2분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여기에 고물가 영향까지 겹치면서 실질소득은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해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9%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늘었다.
전 분기(8.6%)보다 증가 폭은 줄었지만, 고용 상황 호조세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사업소득은 원재료값 인상,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0.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2분기 높은 증가율(14.9%)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전소득은 지난해 지급된 코로나19 소상공인 손실 지원금 기저효과 영향으로 19.6% 줄었다.
재산소득은 21.8% 늘었고 경조소득·보험금 수령 등 비경상소득은 12.5% 감소했다. ◇ 소비지출 늘었지만 둔화세 '뚜렷'…실질소비 마이너스 전환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65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4.1% 늘었다.
이 중 생활에 필요한 재화·서비스 구입 비용을 뜻하는 소비지출은 269만1천원으로 2.7% 늘었다.
해외여행 증가로 오락·문화 지출이 14.0% 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다.
외식비와 공공요금 물가 상승 등 영향으로 음식·숙박(6.0%), 주거·수도·광열(7.4%) 등의 지출도 증가했다.
전체 소비지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증가 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2분기 소비지출 증가 폭(2.7%)은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작았다.
결국 물가수준을 반영한 2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전년동기대비 0.5% 줄면서 2020년 4분기(-2.8%) 이후 10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비소비지출은 96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8.3% 증가했다.
고금리 영향으로 이자 비용이 42.4% 늘면서 1분기(42.8%)에 이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 소비 증가로 취·등록세 지출이 늘면서 비경상 조세도 95.0% 늘었다. ◇ 이자비용 늘면서 실제 쓸 수 있는 생활비 줄어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3만1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8%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소득이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비소비지출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한 탓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4만1천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3.8% 줄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9.8%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전년 동기 대비 3.8%포인트 상승한 70.2%로 집계됐다. 이진석 과장은 "소비지출이 10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긴 했지만 코로나19 이후 보복심리 성향이 다소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라며 "가처분 소득도 역대 최대 폭으로 줄면서 전체 (실질) 소비도 줄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