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요령 [이소연의 시적인 순간]

물건을 잘 놓고 다닌다. 도서관 작가의 방에 노트북을 두고 왔다. 날씨가 화창해서 작업실에 가서 글을 쓰면 딱 좋을 텐데. 도서관을 들렀다가 가려니 글을 쓰기도 전에 진이 빠질 것 같았다. 남편에게 부탁해 볼까? 남편은 차도 있고 금방 다녀올 수 있을 것 같은데. 전화를 했다. 받지도 않고 끊어진다. 왠지 쎄한 이 느낌 익숙하다. 실수를 한 것 같다. 문자가 왔다.
“교회.”

교회에서 점심까지 먹고 온다고 하는데 나는 카톡 창에 노트북을 두고 와서 어쩌고저쩌고 떠들기 시작했다. 그때 정신을 차렸어야 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이 문을 벌컥 열고 집 안으로 들이쳤다. 노트북을 놓고 온 것도 너고 나도 내 일정이 있는데 왜 갑작스럽게 이런 걸 부탁하냐는 것이었다. 나는 혹시나 되는가 해서 물어본 것뿐이라고 당신이 안 된다고 하면 가기 싫어도 내가 가려 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떠보는 게 얼마나 나쁜 심보인지 알아? 떠보는 말은 천하에 쓸모없는 말이야!” 이병일 시인이 마저 화를 내고 나갔고 나는 아들과 부대찌개를 먹었다. 내가 시무룩해 보였는지 아들이 말했다. “엄마,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

무슨 말이지? 서진이가 이런 말을 한 건 처음이다. “아빠가 쓴 청소년 시집을 읽어봤는데, 거기 맨 뒷장에 보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쓰여 있어. 그런데 지금 와서는 반대로 말해. 그러니까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 웃음이 터졌다. 아들이 자기가 쓴 책을 읽어봤으면 좋겠다며 그렇게 권하더니 그게 자신의 발목을 잡을 줄은 몰랐을 것이다.

서진이가 아버지이기 이전에 한 명의 저자인 이병일 시인의 글을 근거 삼아 삶의 모순을 집어내는 이런 수준의 대화까지 이끌어간다는 것이 놀라워서 웃음이 났다. 한 명의 인격체로서 더욱 존중해야지 싶다. 아들이 내 시를 읽는다는 걸 생각해 본다. 시인으로서 작가로서 독자에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지 늘 생각하긴 하지만, 아들은 또 다르다. 아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려 노력하지만, 아들을 의식해서 할 말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아 고민에 고민을 한다.

집에 돌아온 이병일 시인이 서진이 말을 전해 듣고는 아들 무서워서 말도 함부로 못 하겠다며 한바탕 웃었다. 아이가 선생이라더니 오늘 일이 글을 쓰고 사는 우리 부부에게 언행일치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
Getty Images Bank싸운 건 싸운 거고 나는 이병일 시인의 말에 설득되었다. 요지는 어떤 질문은 때로 거절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거절하기 힘들었던 여러 가지 예를 들며 나를 설득했다. 나도 거절하는데 힘들었던 일이 많았다. 그러고 보니 정말 그렇다. 나는 보통 제안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안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편이고 선택은 상대방에게 달려있다고 믿었다.

독자를 직접 만나는 자리를 좋아하는 나의 성격 때문에 나와 같은 켬 동인이자 절친한 친구인 주민현 시인은 한 달에 약 10회 정도의 ‘모임에 올 수 있냐’는 제안을 받아왔다. 시인으로 활동하며 직장생활도 하느라 바쁜 주민현 시인은 내가 부를 때마다 선뜻 나타나 주었기에 나는 민현 시인을 더 많이 부르고 제일 먼저 불렀다.

술을 한잔하며 넌지시 이병일 시인의 거절론에 대해 말해줬더니 “언닌 진짜 너무 많이 불러….”하며 슬며시 고백하는 것이 아닌가! 그동안 와준 것이 고마워지면서도 앞으로는 부르기보다 민현이가 필요한 자리에 내가 먼저 찾아가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이후로 나는 아주 작은 제안에도 한 번씩 이게 꼭 필요한 제안인가 생각해 보는 일이 늘어났다. 내 제안을 상대가 정말 편하게 거절할 수 있는가도 한 번 짚어본다.한편, 나는 어려운 사람이 나에게 거절하기 힘든 제안을 할 때도 단단하고 굳은 마음으로 “그건 좀 힘든데요.”하고 말하고 싶기도 하다. 자신의 거절력을 높인다면, 아내에게 제안하라 말라 할 필요는 없을 텐데...

나와 친한 김은지 시인은 거절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곧잘 사양하곤 한다. 예를 들어 내가 술을 좀 먹자고 한다던가, 부다페스트 레지던스를 같이 신청하자고 한다던가 하면 요령껏 잘도 거절한다. 처음에 섭섭했지만, 헛된 기대를 품게 하지 않아서 좋다.

저마다 언행일치를 하려고 노력하고 잘 제안하고 잘 거절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마음이 상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생기기 마련이다. 서진이 말을 생각한다.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요.”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고 늘 혼만 났는데 이 작은 꼼수가 서로의 입장이 상충할 때 작은 틈을 만들어 주는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