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술잔엔 '눈물'이 절반 [고두현의 아침 시편]

소주병

공광규술병은 잔에다
자기를 계속 따라주면서
속을 비워간다

빈 병은 아무렇게나 버려져
길거리나
쓰레기장에서 굴러다닌다

바람이 세게 불던 밤 나는
문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나가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공광규 : 1960년 충남 청양 출생. 1986년 ‘동서문학’ 신인문학상 당선. 시집 <대학일기> <지독한 불륜> <소주병> <담장을 허물다> <파주에게> <서사시 금강산> 등 펴냄. 김만중문학상, 신석정문학상 등 수상.
오늘은 공광규의 시 ‘소주병’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세상의 모든 아버지는 한때 누군가의 아들이었지요. 그 아들이 커서 아버지가 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이해하게 되는 우리들의 아버지. 아버지의 말수는 적지만 가슴속 웅덩이는 갈수록 깊어가고…. 그래서 아버지의 술잔엔 ‘눈물’이 절반이라고 했을까요.

이 시는 공광규 시인이 대천해수욕장 포장마차에서 소주를 마시다가 착상했다고 합니다. 빈 소주병을 입에 대고 불면 ‘붕붕’ 하고 우는 소리가 나죠. 이걸 아버지의 울음소리와 연결했는데, 찬찬히 읽다 보면 명치끝이 아릿해집니다. 자기를 계속 따라 주기만 하다가 끝내 버려지는 소주병과 아버지의 고단한 일생이 동시에 겹치지요.아버지는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 가족을 위해 온갖 고초를 견디며, 자식들 잘 키우려고 힘에 부치는 일까지 마다하지 않습니다. 그러다 늙어 쇠잔해지면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 빈 소주병” 신세가 되곤 하지요. 사회적 지위나 빈부와 상관없이 아버지의 한평생은 이처럼 결핍을 메우기 위해 자신을 비우는 삶일 것입니다.

시인의 아버지도 다른 아버지들처럼 가족의 생계를 위해 갖은 고생을 다 했지요. 평생 도시와 광산으로 떠돌다 농촌에 정착해서도 아침저녁 일만 했습니다. 그렇게 노동으로 꽉 찬 아버지의 삶과 빈 소주병에 어른거리는 슬픔의 무늬를 교직시켜 쓴 게 바로 이 시죠.

그 아버지가 남긴 흔적은 지금도 곳곳에 있습니다. 홍수에 무너진 논둑을 쌓다가 흙 속에서 무언가가 삽날을 자꾸만 붙들어서 자세히 살펴보니 아버지가 오래전 박아 놓은 말뚝이었다는 얘기도 눈물겹습니다.“무너진 논둑을 다시 쌓기가 / 세상일처럼 쉽지 않아 / 아픈 허리를 펴고 / 내 나이를 바라본다 // 살아생전 무엇인가 쌓아보려다 / 끝내 실패한 채 흙 속에 / 묻힌 아버지를 생각하다 / 흑, 하고 운다.”(공광규의 ‘썩은 말뚝’ 중에서)

오랜 세월 논둑을 지탱하려고 박아 놓은 아버지의 ‘썩은 말뚝’ 앞에서 시인의 가슴은 홍수 뒤의 논둑처럼 무너지고 맙니다.

요즘 아버지들의 인생도 참 고달프지요. 예전에는 자녀가 학교 졸업하고 취직해 부모를 돕는 선순환 구조가 있었지만, 지금은 50대가 노부모뿐 아니라 20~30대 자녀를 함께 부양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효도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효도 받기를 포기한 첫 세대라는 뜻의 신조어 ‘막처세대’까지 등장했지요.

“취업이 안 돼 대학원에 들어간 아들 뒷바라지하고 딸 시집도 보내야 합니다. 요양 병원에 모신 어머니 또한 보살펴야 하지요. 회사에선 언제 쫓겨날지 모르고, 늘어나는 약봉지에 우울증마저 겹쳤습니다. 내가 무너지면 가정이 무너지는데 어떻게든 버텨야지요. 노후 준비는 생각도 못 합니다.”

50대 가장에게 제일 큰 불안은 뭘까요. 경제 문제가 첫 번째고, 그다음이 노후와 건강입니다. 지금도 돈 들어갈 곳은 많지요. 설문조사 결과를 보니 생활비로 약 54.5%, 자녀 교육비로 26.6%, 대출금 상환으로 14.5%를 쓴다고 합니다.

제 살까지 새끼의 먹이로 내주는 염낭거미와 다름없지요. 하지만 50대의 의식구조는 아직도 ‘자녀가 취업하고 결혼할 때까지 부양해야 한다’는 게 대세입니다.

이러니 자신을 위한 노후 준비는 꿈도 못 꿉니다. 은퇴 설계 전문가들이 50대 초반 이후 10년간을 ‘노후 준비의 골든타임’으로 꼽지만,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는 사람은 10명 중 1명도 안 됩니다.

고용 불안은 더하지요. 민간 기업에선 50대 안팎부터 명예·희망퇴직 압력을 받습니다. 정년이 60세로 늘었다지만, 월급이 깎이는 임금피크제와 보이지 않는 나이 차별을 감수해야 합니다. 젊은이들이 기피하는 일을 맡더라도 “일자리를 뺏는다”라는 공격을 받곤 하죠. 정부 지원은 젊은 층과 노년층에 치우쳐 있습니다.

물론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어찌 보면 50대야말로 우리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100세 시대의 ‘진정한 중년’이지요. 서양 사회학자들은 ‘세 번째 인생’ ‘제2의 성인기’라고 부릅니다. 그만큼 살아갈 날이 많이 남았지요. 해야 할 일도 많고, 할 수 있는 일도 많습니다.

하지만 ‘생각’과 ‘현실’은 다르죠. 오늘도 막막한 미래 앞에 고뇌하는 가장들의 긴 그림자가 꼬리를 물고 이어집니다. 해 질 녘 그림자는 더욱 길게 느껴집니다. 일본의 50대가 미리 겪었듯이 우리도 서서히 ‘삶은 개구리’가 되어 가는 것일까요. 이래저래 아버지 술잔의 절반은 여전히 ‘눈물’인 것 같습니다.

√ 음미해보세요

아버지는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고, 가족을 위해 온갖 고초를 견디며, 자식들 잘 키우려고 힘에 부치는 일까지 마다하지 않습니다. 그러다 늙어 쇠잔해지면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 빈 소주병” 신세가 되곤 하지요. 사회적 지위나 빈부와 상관없이 아버지의 한평생은 이처럼 결핍을 메우기 위해 자신을 비우는 삶일 것입니다. 시인의 아버지도 다른 아버지들처럼 가족의 생계를 위해 갖은 고생을 다 했지요. 평생 도시와 광산으로 떠돌다 농촌에 정착해서도 아침저녁 일만 했습니다. 그렇게 노동으로 꽉 찬 아버지의 삶과 빈 소주병에 어른거리는 슬픔의 무늬를 교직시켜 쓴 게 바로 이 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