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스토리]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운동에 숨어 있는 경제학
입력
수정

운동을 왜 하나요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산업이 다양해지면서 현대인은 과거보다 평균적으로 몸을 덜 움직여요. 걷는 대신 자동차를 타고, 시장에 가는 대신 휴대폰으로 음식이나 식재료를 주문하죠. 성장기인 초· 중·고교 학생들도 공부 때문에 운동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에요.운동하면 근육과 뼈, 심장 등 신체가 튼튼해집니다. 혈액 순환을 돕고 면역력도 높여줘요. 적당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체력도 강해져요. 운동은 우리가 스트레스를 풀거나 밤에 숙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줘요. 신체를 단련함으로써 정신적으로 자신감도 키울 수 있어요. 여러운동하면 근육과 뼈, 심장 등 신체가 튼튼해집니다. 혈액 순환을 돕고 면역력도 높여줘요. 적당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체력도 강해져요. 운동은 우리가 스트레스를 풀거나 밤에 숙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줘요. 신체를 단련함으로써 정신적으로 자신감도 키울 수 있어요. 여러 명이 함께 하는 팀 스포츠의 경우, 친구들과 호흡을 맞추면서 협동심도 키워 줍니다. 그래서 몇몇 해외 명문 대학은 신입생을 뽑을 때 스포츠 활동을 살펴봐요. 스포츠를 잘하는 학생은 협동심과 리더 십이 다른 사람보다 뛰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거죠.

스포츠는 거대한 ‘산업’
스포츠도 자동차 제조업이나 유통업 처럼 하나의 산업이에요. 예를 들어, 여러분이 좋아하는 운동을 배우기 위해 돈을 쓴다고 생각해 보세요. 태권도 학원에 다니거나 수영 강습을 받는 일이죠. 방과후 체육 수업도 일정 부분 돈을 내고 듣는 과외수업이랍니다. 우리가 수강료를 내고 운동을 배우면 강사나 스포츠센터 운영자는 그 돈으로 체육 시설을 늘리고, 또 다른 시설을 지을 수 있어요.운동을 하려면 장비나 용품이 필요할 때가 많아요. 도복이나 수영복, 축구화, 스케이트화가 필요하죠. 배드민턴 라켓과 축구공도 사야 하고요. 회사에서는 이런 용품들을 만들어 팔아요. 나이키나 아디다스가 대표적인 스포츠용품 글로벌 기업이랍니다.
프로 스포츠의 세계
운동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있어요. 대표적인 사람들이 프로 선수들입니다. 우리나라 4대 프로 스포츠는 야구, 축구, 농구, 배구입니다. 프로 선수들은 각구단(팀)에 속해 훈련하고 경기를 치러요. 관중은 입장료를 내고 관람하러 가죠. 목이 터져라 자신이 좋아하는 팀을 응원해요. 프로 경기에서는 선수들을 지도하는 감독과 코치 외에도 심판, 경기 기록 관, 응원단, 전담 의료진, 구단 직원 등 많은 사람이 참여하고 있어요. 선수 등 번호가 새겨진 유니폼과 모자 등 스포츠용품 (굿즈)도 많이 제작해 판매합니다. 방송국은 돈을 내고 인기가 높은 경기를 중계 해요. 프로 스포츠는 누군가 돈을 벌고, 누군가 돈을 쓰게 만드는 산업입니다.국내에선 프로 스포츠 중 야구의 인기가 높아요. 지난해 연간 607만 명이 경기장을 찾았어요. 해외에선 축구 인기가 높은데, 손흥민 선수가 뛰고 있는 영국의 1부 프로 축구인 EPL(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이 가장 유명해요. EPL은 경기당 평균 4만 명이 관람해 2022~2023년 시즌 기간 총 1500만 명의 팬이 경기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재미와 감동이 있는 스포츠 영화 소개할게요!
스포츠를 주제로 한 영화는 인기가 많습니다. 역경을 딛고 땀 흘려 연습한 선수들과 팀이 승리한다는 줄거리는 재미와 함께 감동의 눈물을 선사하죠. 주인공들은 우승하지 못해도 경기를 준비하면서 더 성숙해지죠. 그런 모습을 지켜보면서 관객도 힘을 얻어요.최근 나온 또 다른 한국 영화 <드림>은 우리나라가 처음 출전한 2010년 브라질 홈리스(homeless) 월드컵 당시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했어요. 선수 생활에 위기를 맞은 축구 선수가 홈리스 풋볼 월드컵 감독으로 재능 기부에 나서면서 겪는 좌충우돌 감동 스토리입니다.
이 밖에도 <말아톤>(마라톤),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핸드볼), <킹콩을 들다>(역도), <국가대표>(스키점프) 등 다양한 스포츠를 다룬 한국 영화가 많아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만합니다. <코리아>(탁구)와 <카운트>(복싱)는 12세 관람가예요.
by 문혜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