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 '자녀들' 주식자산 비중 늘었다…경영승계 가속화

CEO스코어 조사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대기업 집단 총수 일가의 보유 주식자산 중에서 자녀세대의 자산 비중이 50%를 넘는 곳이 최근 10년 사이 10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기업 집단은 사실상 승계 작업이 끝났다는 의미가 된다.

반면 현대백화점과 네이버, 셀트리온, 코오롱, 이랜드, 교보생명 등 6개 대기업 집단은 그룹 총수 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였다.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인 CEO스코어가 올해 지정 대기업집단 81개 중 비교 가능한 56개 집단을 대상으로 총수 일가 주식자산 승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총수 일가 주식자산 중 자녀 세대의 자산 비중이 50% 이상인 대기업집단은 총 22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 말(12곳)에서 10곳 늘어난 수치다.

롯데와 한솔, DL, 한국타이어 등 4개 그룹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였다. 그 외 50%를 넘는 곳은 태영(98.4%), DN(92.0%), 두산(83.7%), 엘지(82.4%), 호반건설(77.9%), 한진(77.8%), 효성(74.7%), 삼성(74.4%), 한화(74.4%), 동원(73.8%), 금호석유화학(72.8%), 신세계(67.5%), 장금상선(64.2%), DB(61.0%), 엠디엠(60.2%), 세아(51.8%), 엘엑스(50.6%), 현대자동차(50.5%) 등 18곳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DL과 DN, 엘지, 한진, 삼성, 한화, 신세계, 장금상선, 엠디엠, 엘엑스, 현대자동차 등 11곳이 50% 이상에 새로 추가됐고, 영풍은 10년 전 50.7%에서 48%로 줄었다.해당 기간 자녀세대 주식자산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DL로 58.1%포인트가 늘었다. 엠디엠(56.8%p), 엘지(56.5%p), 삼성(52.2%p), 한진(51.6%p) 등의 상승폭도 그 다음으로 컸다.

대기업집단 총수일가의 자녀세대 승계는 크게 상속·증여, 공익재단 설립, 자녀세대 기업가치 올리기 등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상속을 통한 자산승계의 대표적 사례는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 증가율 3~5위를 차지한 엘지(56.5%p), 삼성(52.2%p), 한진(51.6%p)이다. 지난 7월 말 현재 이들 기업의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은 엘지 82.4%, 삼성 74.4%, 한진 77.8%다.
자료=CEO스코어 (단위 십억원)
엘지는 2018년 구본무 회장 별세 후 세 자녀(구광모·연경·연수)에게 지분이 상속됐다. 삼성은 2020년 이건희 회장 별세 후 배우자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세 자녀(이재용·부진·서현)에게 상속이 이뤄졌다. 한진은 2019년 조양호 회장 별세 후 배우자인 이명희 전 일우재단 이사장과 세 자녀(조원태·승연·현민)에게 지분이 각각 상속됐다.공익재단을 통한 대표적 승계사례는 DL이다. DL은 지난 2015년과 2016년 이준용 명예회장이 대림(옛 대림코퍼레이션) 주식 42.65%와 2018년 대림씨엔에스 주식 2.31%를 재단에 기부하면서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58.1%p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엠디엠은 자녀세대 보유기업의 가치를 높여 승계를 완성한 경우다. 엠디엠은 지난 10년 새 총수 일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56.8%p나 상승했는데, 이는 문주현 회장의 두 자녀(문현정·초연)가 지분 95.24%를 보유한 엠디엠플러스의 기업 규모(자본총액)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편 부모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100%인 그룹은 현대백화점, 네이버, 셀트리온, 코오롱, 이랜드, 교보생명 등 6곳이다. 이 가운데 네이버, 셀트리온, 이랜드는 창업세대가 지분을 모두 갖고 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