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건너간 '김남국 제명'에…'이재명 책임론' 들썩
입력
수정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31일 BBS 라디오 '아침저널'에 출연해 "제명했어야 옳다"며 "저도 국회의원을 오래 해봤습니다마는 동료 의원에 대한 보호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전 원장은 다만 '이재명 대표의 지시 여부'에 대해선 "그런 얘기할 필요가 없다"며 "외부로는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서는 아무 소리 못 하는 사람들이 밤낮 내부로 총질하면 그것이 정당인가? 그런 패거리 정치하면 안 된다"고 했다.
반면, 김남국 의원 제명안 부결에 이재명 대표 등 지도부에 분명한 책임을 묻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종민 민주당 의원은 30일 저녁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제명안을) 윤리특위에서 부결시킨 건 우리 당의 입장"이라며 "이런 식으로 결정한다는 게 상식적이냐, 맞는 길이냐"고 분개했다. 그는 "지금 공개는 안 됐지만, 액수가 엄청나게 크다고 들었다"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액수, 하루에 거래한 액수도 상상보다 훨씬 많고 여기에 대한 판단이 사실상 징계를 안 하는 쪽으로 가는 건데 이걸 국민들한테 설득할 수 있을까"라고 되물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이 과정에 당 지도부가 개입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 지도부의 지시가 없이는 불가능한 결정이라고 본다"며 "지금 내로남불 때문에 민주당이 위기라는 건 누구나 다 알고 있는데 그래도 민주당이 정신을 못 차린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 이름을 걸고 우리 당이 그냥 '김남국 방탄할게' 이렇게 결정하는 게 정말 겁이 없다"며 "이건 민주당이 가야 할 길은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원욱 의원도 앞서 민주당이 윤리특위에 제명안 표결 절차를 '미루자'고 제안한 것을 언급하며 "정신 못 차린 민주당의 민낯"이라며 '이재명 대표 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표 체제를 평가하며 "김남국 의원의 윤리특위 징계를 지연하는 등 국민과 동떨어진 대응도 평가 대상이다. 민주당은 국회 윤리특위 자문위가 권고한 제명 의견도 무시하고 30일 출석정지를 검토한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며 "무엇이 중한지 보지 못하고 있다"고 쓴 바 있다.
한편, 국회 윤리특위 1소위는 전날 오후 김 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3표, 반대 3표로 부결됐다. 가결 기준은 과반(4명 이상) 찬성이다. 표결은 무기명으로 이뤄져 누가 반대표를 던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소위 구성이 여야 동수인 점에서 민주당 위원 전원이 반대에 투표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