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암동 지하에 소각장…수도권 '30년 핑퐁 싸움' 종지부
입력
수정
지면A8
인천 매립지 사용 2025년 끝나…서울시, 신규 건설 확정서울시가 상암동에 하루 1000t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새 소각장을 짓기로 하면서 ‘쓰레기 대란’ 우려는 한숨 돌리게 됐다.
기존 시설 없애 '도심 랜드마크'로
2.1만㎡ 규모 하루 1000t 소각
지상엔 놀이기구·문화시설 설치
서울 등 수도권은 전국에서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지만 버릴 곳이 부족해 항상 갈등을 빚어왔다. 난지도(상암동) 쓰레기 매립지가 꽉 차면서 정부는 인천에 ‘수도권 매립지’를 조성해 지난 30년간 쓰레기를 수거했다. 그러나 이 매립지도 곧 가득 찬다. 인천시는 2025년 후에는 더 이상 서울의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2026년 수도권 쓰레기 대란’ 예고가 나온 배경이다.
“쓰레기 태워서 묻어라” 결정
매립지를 어디에 조성하든 같은 면적에 많은 쓰레기를 버리려면 부피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환경부는 2021년 쓰레기를 태우지 않고 봉지째 땅에 묻는 ‘직매립’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했다. 태우고 남은 재만 묻으면 부피가 10~20% 수준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수도권은 2026년부터, 비수도권 지역은 2030년부터 이 조치를 적용한다고 했다. 서울시가 마포구 반발에도 소각장 부지 결정을 강행한 이유다.서울의 하루 쓰레기 발생량은 3186t(2020년 기준)이다. 이 중 2200t은 마포·노원·양천·강남 네 곳에서 태우고 있다. 문제는 나머지 약 1000t이다. 지금은 인천 매립지로 보내고 있는데 3년 후부터는 이 길이 막힌다.서울시는 2020년 12월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소각장 후보지를 찾기 시작했고, 작년 8월 31일 상암동 일대를 최적 후보지로 정했다. 김권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회수시설 추진단장은 “후보지 다섯 곳을 두고 정량평가를 한 결과 마포 상암동이 94.2점으로 강서 오곡동, 강동 고덕동, 서초 염곡동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했다.
바로 옆에 주거시설이 없는 것이 핵심 근거였다. 인근 300m에 거주자가 없고 주변 5㎞ 내 기상, 대기질, 위생·공중보건, 악취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시설로 인한 주변 환경영향이 경미할 것으로 평가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서울시 “소각장을 관광지처럼”
소각장 부지를 정했다고 해도 갈 길은 멀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신청해야 하고, 길면 1년6개월까지 소요되는 환경영향평가를 마쳐야 한다. 또 주민들이 청구한 감사원 공익감사에서 후보지 선정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는 결론을 얻어야 한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포구민의 협조를 얻어내는 일이다. 서울시는 마포구를 달래기 위해 이 지역을 오히려 많은 이들이 찾는 관광지로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대관람차 ‘서울링’을 상암동 하늘공원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서울시는 쓰레기산 난지도가 예비 신혼부부들의 촬영 명소로 거듭났듯 소각장을 지하에 설치하고 주변 시설을 보완하면 환경이 더 좋아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하지만 마포구민들은 이미 소각장으로 인한 부담을 지고 있는데 더 큰 소각장을 들인다는 소식에 입맛이 쓸 수밖에 없다. 마포 소각장 백지화 투쟁본부는 입장문에서 “입지 선정에 대해 이해할 만한 명분과 논리를 설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도 “매우 유감”이라며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또 다른 복병은 소각 전 전처리로 나온 배출물이다. 소각재는 인천 매립지로 보낼 수 있지만, 전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비닐 등은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열원으로 쓰이기 때문에 강원도와 충청남북도 등으로 보내야 한다. 대량으로 폐비닐 등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 시멘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주민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김 단장은 “전처리 후 폐기물을 지방에 보내는 것도 당면 과제”라며 “신중하게 대상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상은/최해련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