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공연도 단원 채용도 다 막혀"…부천필 상임지휘자 돌연 사퇴의 진실
입력
수정
지면A29
장윤성 지휘자(60·사진)가 임기를 9개월이나 남긴 상황에서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자리를 내놨다. 국공립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가 이적 등 특별한 사유 없이 자진 사퇴하는 건 매우 드문 일이다.
3일 클래식음악계에 따르면 장 지휘자는 지난 7월 말 사표를 제출했고, 부천시는 한 달 만인 8월 25일 수리했다. 2021년 6월 부천필 제3대 상임지휘자로 취임한 그는 3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부천시가 밝힌 퇴임 이유는 서울대 교수직 복귀다. 부천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서울대 교수 휴직 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기 어렵다는 사유로 상임지휘자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며 “전적으로 자의에 의한 결정”이라고 했다.장 지휘자의 이야기는 다르다. 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해외 공연, 음반 녹음, 단원 채용 등에서 부천시, 부천시립예술단 사무국과 지속적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했다. 교수직 복귀는 시기적으로 맞물렸을 뿐 사퇴의 직접적 계기가 아니었다는 얘기다. 그는 “울산시향 창원시향 대전시향 등 국내 지방자치단체 산하 악단을 여러번 이끌어봤지만 부천필처럼 번번이 상임지휘자의 주장이나 제안이 무력화된 곳은 처음”이라며 “예산이 적은 건 백번 이해할 수 있지만 시작도 하기 전에 안 된다는 식의 태도로 일관하는 기관과는 악단의 발전을 도모할 수 없었다”고 했다.
갈등의 정점은 지난해 부천필이 오스트리아 출신 현대 작곡가 헤르베르트 빌리가 한국인의 ‘정(情)’을 주제로 쓴 작품을 잘츠부르크에서 세계 초연할 기회가 무산됐을 때다. 이 곡은 앞서 빈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초연이 예정됐을 만큼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예산의 3분의 2가량을 몇몇 기업에서 후원받기로 약속도 받았지만, 시의 반대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2년 넘게 계속 요청한 단원 채용이 번번이 반려됐고, 전임 지휘자 시절 네 차례 이뤄진 음반 녹음이 그의 임기 땐 한 차례도 성사되지 못했다.
부천시는 상임지휘자의 제안을 수용하지 못한 데는 여러 여건상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이들 안건 모두 추가 예산이 필요한 사안이었고, 해외 공연은 코로나19 시기라 논의를 계속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
3일 클래식음악계에 따르면 장 지휘자는 지난 7월 말 사표를 제출했고, 부천시는 한 달 만인 8월 25일 수리했다. 2021년 6월 부천필 제3대 상임지휘자로 취임한 그는 3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부천시가 밝힌 퇴임 이유는 서울대 교수직 복귀다. 부천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서울대 교수 휴직 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기 어렵다는 사유로 상임지휘자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며 “전적으로 자의에 의한 결정”이라고 했다.장 지휘자의 이야기는 다르다. 그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해외 공연, 음반 녹음, 단원 채용 등에서 부천시, 부천시립예술단 사무국과 지속적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했다. 교수직 복귀는 시기적으로 맞물렸을 뿐 사퇴의 직접적 계기가 아니었다는 얘기다. 그는 “울산시향 창원시향 대전시향 등 국내 지방자치단체 산하 악단을 여러번 이끌어봤지만 부천필처럼 번번이 상임지휘자의 주장이나 제안이 무력화된 곳은 처음”이라며 “예산이 적은 건 백번 이해할 수 있지만 시작도 하기 전에 안 된다는 식의 태도로 일관하는 기관과는 악단의 발전을 도모할 수 없었다”고 했다.
갈등의 정점은 지난해 부천필이 오스트리아 출신 현대 작곡가 헤르베르트 빌리가 한국인의 ‘정(情)’을 주제로 쓴 작품을 잘츠부르크에서 세계 초연할 기회가 무산됐을 때다. 이 곡은 앞서 빈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초연이 예정됐을 만큼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예산의 3분의 2가량을 몇몇 기업에서 후원받기로 약속도 받았지만, 시의 반대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2년 넘게 계속 요청한 단원 채용이 번번이 반려됐고, 전임 지휘자 시절 네 차례 이뤄진 음반 녹음이 그의 임기 땐 한 차례도 성사되지 못했다.
부천시는 상임지휘자의 제안을 수용하지 못한 데는 여러 여건상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이들 안건 모두 추가 예산이 필요한 사안이었고, 해외 공연은 코로나19 시기라 논의를 계속하기에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