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불참한 '세계 3대 모터쇼'…어느 기업 갔나 했더니
입력
수정
'미래차 전쟁터' IAA 2023, 신기술 주목
현대모비스·삼성SDI·삼성디스플레이 등 참가
올해 관전 포인트는 '독일 미래차·중국 전기차'
![악셀 마슈캬 현대모비스 부사장이 4일(현지시간) 독일 'IAA MOBILITY 2023' 미디어 발표회에서 전동화, 커넥티비티 등 기술을 중심으로 한 유럽 모빌리티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421432.1.jpg)
"목적에 맞게 자유자재"…e-CCPM 공개
이날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표 완성차 업체인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불참한 가운데 현대모비스는 20여종의 전장(자동차 전자장비) 기술을 선보인다.현대모비스는 이날 진행된 IAA 프레스데이에서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BSA)과 PE 시스템(Power Electric, 동력전달시스템),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인 'e-CCPM(Electric Complete Chassis Platform Module)'을 소개했다.![현대모비스 e-CCPM. 현대모비스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01.34421450.1.jpg)
현대모비스는 커넥티비티 기술도 소개했다. '엑스 바이 와이어(X-By Wire)'와 '5G 기반 V2X(Vehicle to Everything) 통합제어' 기술로 미래차 시장을 공략할 계획. 특히 엑스 바이 와이어는 차량의 전장화 추세에 필수적인 차세대 섀시 기술로 조향, 제동 등 필수 기능을 모두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차량 설계와 디자인, 공간 측면에서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로 통한다.
특히 차종별로 요구되는 주행거리에 최적화된 NMX, LMFP 등 코발트프리(코발트가 없는) 소재가 채용된 배터리를 공개했다. 삼원계 주재료 중 가격이 비싼 코발트가 빠져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성능은 기존 삼원계 배터리와 비슷한 효율을 갖는다.
삼성SDI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보급형 전기차 시장이 경차·소형 SUV·세단 등으로 세분화되고 가격 민감도가 증대됨에 따라 탄력적인 용량 제공을 통해 안전성과 가격경쟁력을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MW 5시리즈 PHEV·벤츠 전기 CLA 콘셉트카 공개
또 신형 5시리즈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신형 5시리즈 PHEV는 4기통 및 6기통 가솔린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배터리를 장착하는 설계를 최적화해 내연기관 모델과 동일한 트렁크 공간을 갖춘다. BMW그룹 산하 미니(MINI)는 미니 쿠퍼 전기차와 미니 컨트리맨 전기차를 세계 최초 공개한다.
벤츠는 또 E클래스의 왜건 모델 'E클래스 올 터레인'과 고성능 모델 '메르세데스-AMG GT 콘셉트 E 퍼포먼스'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걸-윙 도어(Gull-wing door·갈매기 날개처럼 위로 치켜올리는 방식으로 여닫는 문)를 채택한 쇼카 '비전 원-일레븐'을 대중에 처음 공개하며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EQA·EQB도 전시한다.현대차와 기아는 'IAA 모빌리티 2021'에는 참여했지만 올해는 불참한다.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국제소비자가전전시회 2024)'에 집중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