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음악은 전통이 아니라 도전의 결과"

작곡가·지휘자 최재혁

제네바콩쿠르 최연소 작곡상 수상
내달 첫번째 오르간 협주곡 초연
“우리가 아는 클래식은 작곡가들이 옛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것에 도전한 결과예요. 따지고 보면 클래식 음악은 전통 음악이 아닌 ‘전통에 대한 배반의 음악’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작곡가 겸 지휘자 최재혁(29·사진)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다음달 6일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현대음악 연주회 ‘매일클래식’에서 자신의 첫 오르간 협주곡을 무대에 올리는 ‘도전’을 설명하는 과정에서였다.그는 현대음악계의 신성이다. 2017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 작곡 부문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며 주목받았다. 이후 각종 해외 페스티벌과 단체의 위촉을 받아 여러 현대음악 작품을 만들었다. 다음달 공연에선 자신이 만든 작품을 직접 지휘한다. 오르간 연주는 오르가니스트 최규미가 맡는다.

최재혁이 이 곡을 쓰기 시작한 건 3년 전이었다. 러시아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1931~)의 작품을 연주하는 오르가니스트를 보고 작곡을 결심했다. 그는 “악기에 대한 상상력을 크게 넓혀주는 연주였다”고 말했다.

오르간은 음색을 조절하는 스톱, 셈여림을 조절하는 스웰박스, 30여 개의 발 페달 등 악기 구조가 복잡하고 음량 폭도 매우 크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도 없다. 그래서 평생 음악을 한 사람도 손사래를 친다. 최재혁도 같은 이유로 상상에 의존해 오르간 협주곡을 작곡했다고 한다.최재혁은 12분 남짓한 이 곡에 오르간만이 낼 수 있는 음향 효과를 담으려고 애썼다. 소리를 쫙 뿜어내는 오르간 특유의 소리를 활용해 구름 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햇빛을 표현한 게 대표적이다.

최재혁은 현대음악 전문 연주 단체인 앙상블 블랭크의 음악감독 겸 지휘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미국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함께 공부하던 친구들과 2015년 구성했다. 앙상블 블랭크를 통해 신진 작곡가의 초연곡을 무대에 올리며 현대음악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작곡이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작업이라면, 지휘는 여러 사람과 호흡하는 작업이죠. 손끝에서 소리가 나온다는 공통점을 빼면 다른 점이 많아요.”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