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각 인생 20년, 일탈에서 새 길 찾았다"
입력
수정
지면A19
KIAF·프리즈 서울“그 누구보다도 ‘실용주의 철학’을 견지한 가브리엘 샤넬, 그가 오늘 여기서 이 조선백자와 공예를 봤다면 분명 좋아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샤넬이 사랑한 장인 김동준&한기덕
"장식은 필요없다…백자의 백미는 담백함"
화각장 한기덕
"쇠뿔 갈아 만드는 '화각'
한국서만 볼 수 있는 美
세계 알릴 수 있어 기뻐"
도예가 김동준
"'시절인연'이란 말이 있듯
달항아리가 관심받을 때
도예가로 살 수 있어 행복"
지난달 25일부터 서울 삼청동 한옥에서 샤넬과 예올공예재단이 주최하는 특별전시 ‘우보만리: 순백을 향한 오랜 걸음’을 열고 있는 도예가 김동준(43)과 화각장 한기덕(50)의 말이다. 두 작가는 샤넬과 예올공예재단이 선정한 ‘올해의 공예인’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장인을 위해 샤넬과 예올은 4층 규모 한옥을 전부 털어 전시관을 마련해줬다.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 기간에 두 작가의 작품이 해외 컬렉터와 관람객에게 ‘한국의 진정한 미’를 선보이기에 최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한국의 ‘진정한 美’ 선보일 기회
김동준은 일본에서 먼저 알아봤다. ‘한국 대표 도자기 작가’라는 이름으로 통하는 도예가다.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선보인 백자 차 도구 전시가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전시관을 찾은 일본 관람객들은 그가 만들어 낸 백자 속 장작 가마만이 낼 수 있는 불 자국과 빛깔에 매료됐다. 순식간에 차 도구 주문이 몰려들었다.김 작가는 “평생 넉넉하게 작업해 본 적이 없었는데, 그렇게 돈을 벌 기회는 처음이었다”며 “그때 들어온 주문이 너무 많아서 3년 동안은 주문 들어온 것만 작업해도 될 정도였다”고 회상했다.하지만 그는 그 주문을 단 한 건도 받지 않았다. 달항아리에 몰두하고 싶어서였다. 그는 “당시 나의 달항아리는 항상 2%가 빠진 느낌이었다”며 “육체가 건강할 때 오로지 크고 무거운 항아리만 묵묵히 만들며 스스로를 의심하고 점검하고 싶었다”고 했다. 김동준은 자신을 오랜 시간 고뇌하게 한 달항아리와 그를 유명하게 만든 차 도구들을 이번 샤넬·예올 전시에서 모두 선보인다.
한기덕은 대중에게 생소한 화각이라는 작업을 20년 넘게 한 장인이다. 화각공예는 쇠뿔을 얇게 갈아 뒷면에 무늬를 그려 장식하는 공예품이나 그 기술이다.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이 예술가를 화각장이라고 부른다.
한기덕은 화각장이던 아버지의 길을 물려받아 이제 세계에 두 곳만 남은 화각공예 전문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이른바 ‘공돌이’이던 한 작가는 아버지의 길을 따르고 싶어 2년간 일한 로봇설계회사를 그만두고 늦은 나이에 화각에 뛰어들었다.“아버지가 돌아가시면 이제 이 세계에서 화각은 사라지겠구나 생각하니 아득했다”는 그는 “그날로 일을 때려치우고 직접 사업계획서까지 작성해가며 아버지를 6개월간 설득해 공방에 제자로 들어갈 수 있었다”고 했다.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1+1=2’라는 답이 정해진 공식만 알던 공대생이 정답이란 없는 공예를 하려니 ‘죽을 맛’이었다. 하지만 그는 화각이 세상에 둘도 없는 블루오션이라고 느꼈다. 샤넬의 눈을 사로잡은 것도 이 점 때문이다.
세계 유일한 화각 샤넬 사로잡아
“화각이라는 건 국내에도, 심지어 세계에도 하는 사람이 없다”며 “세계에 오로지 한국밖에 없다는 그 희소성이야말로 화각이 가진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29호로 지정됐다.두 작가에게 KIAF-프리즈 기간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전시가 열린다는 것은 무엇보다 특별하다. 한국에 몰리는 세계 예술 애호가들에게 스스로 지켜 온 한국의 공예를 보여줄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김동준은 “시절인연이라는 이야기가 있듯, 리움미술관 전시와 대통령 해외 방문 선물 등으로 달항아리가 세계적인 관심을 받을 때 도예가로서 달항아리를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기뻤다”며 “아무리 노력해도 시대가 안 알아주는 작가도 있는데, 나는 시대를 잘 타고났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했다.그는 이번에 ‘백지상태’에 가까운 백자를 관객에게 선보인다.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 그날부터 그는 가마에서 나온 직후 깨 버린 도자기가 셀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하게 고민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초심으로 돌아가 장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기본에 충실한 그릇을 만드는 것이었어요. 단순하면서도 한국인으로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을 고민하기 위해 조선시대 도자기의 시기와 지역별 디자인의 특징 및 차이를 관찰하고 오랜 기간 연습했습니다.”
수백 수천번 빚은 조선백자
한기덕 작가는 이번 전시를 위해 전시 총괄을 맡은 양태오 디자이너와 ‘특별한 컬래버’로 탄생한 작품 세 가지를 내놨다. 전시관 1층에 전시된 협탁, 서랍장과 의자다. 인테리어디자이너인 양태오의 아이디어와 한기덕 장인의 화각이 더해져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화각 가구’가 탄생했다. 이번 공동 작업 작품이 특별한 이유는 그가 20년간 고집해오던 작업 방식을 완전히 깼다는 데 있다. 한 작가는 “화각 특유의 문양과 색감을 최대한 뺀 것은 인생 처음”이라며 “양 디자이너의 ‘화각공예 전형을 탈피해보자’는 제안에 끌려 진행했는데, 나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했다”고 했다. 그는 국내 관람객에게조차 생소한 황소뿔 공예인 화각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이번 기회가 즐겁다고 했다.“유일하게 단 한 국가, 한국에서만 제작되는 화각공예의 멋을 샤넬이라는 브랜드와 선보인다는 건 큰 의미가 있다”며 “현대적으로 화각을 새롭게 해석한 양 디자이너와의 작업은 전통적인 공예품도 시대에 맞춰 바뀔 수 있다는 진일보한 새로운 가능성과 대안을 제시한 전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