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의사가 말하는 마약 세계… "마약의 끝은 무덤이다" [책마을]
입력
수정
[arte] 책 리뷰
양성관 지음
히포크라테스
368쪽 | 1만8000원

저자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양성관. 치료 목적으로 마약을 처방하거나 외래 진료에서 마약 중독자들을 마주한 경험이 있는 의사다. 가명 처리한 실제 환자들의 사례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단순히 마약중독자들을 자극적으로 나열하지 않는다. 전문가의 시각으로 마약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 오늘날 중독성 높은 마약으로 악명 높은 펜타닐은 '명절을 집에서 보내고 싶다'는 누군가의 마지막 소원을 이뤄주던 진통제였다. 마치 코카인이 최초의 국소 마취제로 외과 수술의 발전을 이끌었듯이.
저자는 2008년부터 15년간 환자 20만명을 진찰하고, 7권의 책을 썼다. 지은 책으로는 <히틀러의 주치의들> <너의 아픔 나의 슬픔> 등이 있다. 책은 개별 마약의 특성과 사례를 넘어 마약산업을 살펴본다. 책의 1부는 마약을 소비하는 개인적 측면을, 2부는 생산-유통-판매로 이어지는 사회 시스템을 분석했다.

이토록 마약의 끔찍한 면을 보여줬음에도 혹시 책을 읽다가 마약에 대한 호기심이 생길지도 모른다. 저자는 독자를 향해 "(마약 하는) 상상조차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신신당부한다. "마약의 끝은 감옥이나 병원, 그것도 아니면 무덤"이라는 것이다.
"마약중독자들이 늘 하는 말이 있다. '난 결코 마약에 중독되지 않았고, 언제든지 마음만 먹으면 마약을 끊을 수 있다.' 하지만 틀렸다. 마약에 중독되지 않는 방법은 처음부터 마약을 하지 않는 것뿐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