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900 간다"…골드만삭스가 꼽은 톱픽은?
입력
수정
“내년 주식시장의 주인공은 미국이 아닌 한국이 될 것입니다”
팀 모우 골드만삭스 아시아 수석투자전략가는 13일 서울 여의도동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3’에 연사로 참석해 “미국 증시가 올해 강했지만 내년에는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증시가 상승세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코스피지수 목표가를 2900으로 제시하고 ‘비중확대’ 의견을 밝혔다. 미국 주식을 포함한 글로벌 위험 자산에 대해서는 ‘중립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 증시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절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모우 전략가는 “외국인이 올해 한국 증시에서 80억달러를 매도하면서 외국인 비중이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라며 “주가순자산비율(PBR)도 1.1배로 역사적 하단에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증시는 주가수익비율(PER)이 20배에 달하는 등 고평가돼 있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회복이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모두 전략가는 “반도체 업황은 저점을 지나고 있다”라며 “주식시장이 2~3분기 실물 경기를 선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식은 먼저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한국 증시에서 경기 민감 업종인 반도체, 인터넷, 화학, 자동차의 비중을 확대하고 경기방어주의 비중을 줄이라고 조언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증시도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중국 당국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있고, 중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최하단에 있어서다. 모우 전략가는 “글로벌 기관들이 중국 주식 비중을 사상 최대치로 비워 놓은 것도 기회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유망 업종으로 컨슈머서비스, 의료기기, 미디어, 보험 등을 꼽았다.
디비아 만키카르 S&P글로벌 ESG 마켓 부문 대표는 기후변화에서 투자 기회를 찾으라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이 환경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기업들이 영향을 받고 있어서다. 만키카르 대표는 “향후 10년간 기업들의 최대 리스크는 기후 문제가 될 것”이라며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4%가 매년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팀 모우 골드만삭스 아시아 수석투자전략가는 13일 서울 여의도동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3’에 연사로 참석해 “미국 증시가 올해 강했지만 내년에는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증시가 상승세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코스피지수 목표가를 2900으로 제시하고 ‘비중확대’ 의견을 밝혔다. 미국 주식을 포함한 글로벌 위험 자산에 대해서는 ‘중립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 증시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절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모우 전략가는 “외국인이 올해 한국 증시에서 80억달러를 매도하면서 외국인 비중이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라며 “주가순자산비율(PBR)도 1.1배로 역사적 하단에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증시는 주가수익비율(PER)이 20배에 달하는 등 고평가돼 있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회복이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모두 전략가는 “반도체 업황은 저점을 지나고 있다”라며 “주식시장이 2~3분기 실물 경기를 선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식은 먼저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한국 증시에서 경기 민감 업종인 반도체, 인터넷, 화학, 자동차의 비중을 확대하고 경기방어주의 비중을 줄이라고 조언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증시도 회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중국 당국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있고, 중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최하단에 있어서다. 모우 전략가는 “글로벌 기관들이 중국 주식 비중을 사상 최대치로 비워 놓은 것도 기회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유망 업종으로 컨슈머서비스, 의료기기, 미디어, 보험 등을 꼽았다.
디비아 만키카르 S&P글로벌 ESG 마켓 부문 대표는 기후변화에서 투자 기회를 찾으라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이 환경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기업들이 영향을 받고 있어서다. 만키카르 대표는 “향후 10년간 기업들의 최대 리스크는 기후 문제가 될 것”이라며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지속된다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4%가 매년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