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너 명장' 잉키넨, 오케스트라로 노래하다
입력
수정
지면A32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독일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가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함께 지난 13일 서울 예술의전당을 찾았다. 올가을 서울에는 베를린 필하모닉, 빈 필, 로열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 체코 필, 뮌헨 필 등 세계 최고 오케스트라가 줄지어 방문한다. 이날 연주는 올가을 ‘클래식 시즌’ 시작을 알리는 공연이었다.
탄호이저 서곡으로 공연 문 열어
금관부터 현악까지 섬세하게 표현
존재감 돋보인 피아니스트 손열음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3번 연주
무대에 오른 피에타리 잉키넨의 모습은 익숙했다. 현재 KBS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도 활동하고 있어서다. 한 가지 낯선 건 이날의 레퍼토리였다. 바그너다.잉키넨은 올해 바그너를 기념하는 음악 축제인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 전곡을 지휘했다. 재팬 필하모닉을 크게 성장시켰을 때도 그 중심엔 바그너 레퍼토리가 있었다. 자타공인 ‘바그너 스페셜리스트’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한국에선 그가 지휘하는 바그너를 듣기 어려웠다.
첫 번째 곡 ‘탄호이저 서곡’은 금관악기들이 순례자의 합창 선율을 섬세하게 연주하면서 시작했다. 지휘자가 이 음악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바이올리니스트 출신이기도 한 잉키넨은 특히 현악 파트를 섬세하게 조율했다. 이 덕분에 성악 파트는 없었지만 마치 가수들이 노래하는 듯한 느낌을 줬다.
섬세하게 조율된 현악의 활약은 곳곳에서 감동을 줬다. 특히 1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2악장에선 그 표현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열정적인 모션만큼이나 표현력이 뛰어났던 제2바이올린 수석은 작품에 다채로운 표정을 만들었다. 이 덕분에 스쳐 갈 뿐이었던 뉘앙스들이 확실하게 표현되면서 작품에 생기를 불어넣었다.협연한 손열음도 안정적인 연주를 보여줬다. 스태미나를 잘 조절해 높은 텐션을 끝까지 이어갔다. 깊은 표현이 필요한 대목에선 과감하게 질렀다. 작품 구조를 놓치지 않고 보여준 덕분에 수많은 음표 속에서도 피아니스트의 존재가 돋보였다. 앙코르는 라흐마니노프 전주곡 작품번호 32-5였다.
2부는 베토벤 교향곡 7번이었다. 이 작품은 목관악기가 주요 주제들을 책임지고 있는데 초반부 목관악기들이 앙상블을 이루지 못한 게 다소 아쉬웠다. 하지만 도이치방송오케스트라에 베토벤은 어느 작곡가보다 익숙한 작품이었다. 이들은 두터운 소리를 바탕으로 작품을 빠르게 쌓아 올렸다. 섬세한 리듬이 주는 짜릿함보다는 원초적이고 거친 리듬의 매력을 보여줬다.
호흡이 긴 악구에서 더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2악장이 그랬다. 여린 소리부터 시작해 센소리까지 나아가는 과정이 치밀하고 영리했다. 클라이맥스에 이르는 과정이 한 편의 이야기처럼 들렸다.앙코르 곡은 두 개였다. 첫 번째는 바그너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전주곡. 잉키넨의 강점이 아주 잘 드러났다. 베토벤을 연주할 때보다 목관악기들의 색깔과 앙상블이 한결 선명했으며, 오페라 속에 등장하는 노래들이 각 악기를 통해 흘러나왔다. 비록 전주곡뿐이었지만 잉키넨이 바그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오롯이 한국 관객을 위한 것이었다. KBS교향악단 상임지휘자로 활동하면서 한국 정서를 꿰뚫은 잉키넨은 ‘그리운 금강산’을 관객에게 선물했다. 객석을 가득 채운 관객은 뜨겁게 화답했다.
허명현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