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이코노미] 유럽은 규제, 미국은 완화…최종목적은 자국 이익
입력
수정
지면S11
(116) 디지털 경제와 규제 정책규제가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은 경제학자들이 정책 설계의 중심에 등장한 1970년대부터다. 주된 수단은 비용편익 분석이었다. 정책의 비용과 효과를 수량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규제를 없애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목을 조르는 과도한 규제의 촉수를 잘라 버리겠다”라는 포부를 밝히면서 법규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을 실시했다.
규제는 디지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수단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볼 때 규제개혁 가능.
미국, 규제는 해롭다는 인식 확고
규제를 재검토하는 업무는 규제 기관을 규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레이건은 규제는 해롭다는 확고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 레이건의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인 머레이 웨이든바움은 규제 때문에 기업이 매년 1000억 달러에 달하는 부담을 짊어진다고 추산했다. 이들은 정부가 내린 명령이 개인 스스로 내린 선택보다 개인의 경제 복지를 더 향상시킬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실제 규제의 역효과를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다수 있었다. 펠츠먼의 1975년 논문이 대표적이다. 펠츠먼은 안전띠 법규가 보행자를 죽인다고 주장했다. 운전자는 안전띠 덕분에 더 안전하다고 느껴 더 빠르게 달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결국 레이건은 ‘정보규제국’을 신설하고 부서마다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한 법규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요구할 권리를 부여했다. 1993년 클린턴 행정부가 집권한 이후에도 이러한 기조가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이전 정권에서 정립된 비용편익 분석이 없어지길 원했지만, 백악관이 규제 기관에 검토 자료를 제출하라는 요구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일임을 깨달았다.비용편익은 생명을 대상으로도 이어졌다. 미국의 환경보호청은 대기질 규제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위해 1990년 생명이 480만 달러 가치가 있음을 산정했다. 문제는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 불거졌다. 환경보호청이 70세 이상 고령층의 생명 값에 37% 할인율을 적용하겠다고 제안했기 때문이다. 미국은퇴자협회는 거칠게 항의했고, 부시 행정부는 사과해야 했다. 오바마 행정부 때는 생명의 가치가 올라갔다. 2016년 환경보호청은 인간 생명에 1010만 달러 액수를 적용했고. 그 덕분에 새 승용차의 지붕 필수 강도를 2배 올릴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