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3조 거래 카톡 선물하기…'현금깡' 수단으로 악용 논란 [정지은의 산업노트]
입력
수정
지면A12
교환권 환불때 현금으로 지급
일부 이용자 '카드깡'처럼 활용
포인트로 받으면 수수료 0%
카카오, 모니터링 등 대응책

○현금화 악용 사례 늘어

카카오엔 모바일 상품권 환불 요청이 하루에도 수백 건 넘게 빗발친다. 환불 요청은 구매 또는 수령 후 3개월이 지났지만 사용하지 않은 상품권에 대해 가능하다. 상품권 하단에 ‘취소·환불’을 누르면 상품 금액의 90%를 현금으로 계좌이체해준다.
카카오 내부에서도 이런 악용 사례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현금깡 의심 사례를 모아 신용카드 결제대행(PG)업체와 모니터링하고 대응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업계에선 ‘카톡깡’의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가 이달부터 구매 또는 수령 후 366일이 지난 상품권에 결제 금액의 100%를 카카오 포인트로 환불해주기로 해서다.
환불 수수료 10%가 과도하다는 지적을 반영하는 동시에 현금 지급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다. 다만 이 조치는 지난 1일 구매한 상품부터 적용돼 내년 9월 2일부터 이용할 수 있다. 종전처럼 10% 수수료를 제외한 90%를 현금으로 받는 방법 중 선택하면 된다.
○“선물하기 키워야 하는데… ”
카카오 선물하기는 커머스(쇼핑) 시장의 한 축으로 꼽힌다. 이용 목적에 따라 ‘새벽 배송은 쿠팡, 일반 배송은 네이버, 모바일 상품권은 카카오’라는 공식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모바일 상품권 시장에서 카카오 선물하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85%를 넘는다.선물하기 활성화는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만 해도 선물하기, 톡스토어, 쇼핑라이브 등 카카오톡 연계 쇼핑 사업을 아우르는 ‘톡비즈 거래형’ 부문 매출은 483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3933억원)보다 23% 증가한 수준이다.카카오는 프리미엄 식품, 럭셔리 뷰티 배송 등 커머스 영역 확장에 공들이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선물하기에 온라인 명품 전문관 ‘럭스’를 출시했다. 명품 브랜드를 한데 모아 안정적인 매출, 수익을 더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악용 사례를 줄일 방안을 계속 고민하며 성장 전략을 짤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