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크라 재건 사업 본격화…'6·25 참화' 극복경험 전수 기회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18개 민간기업·공공기관으로 구성된 제1차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이 지난 13~14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전후(戰後) 재건 프로젝트를 논의했다고 국토부가 발표했다. 대표단은 이번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6대 프로젝트를 확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등이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본격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전쟁 장기화로 황폐화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2000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규모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다. 우크라이나판 ‘제2의 마셜플랜’으로도 불린다. 증권가에선 한국 기업이 참여할 기회를 520억달러(약 69조원)로 잠정 추산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한국 정부에 제안한 200억달러(약 26조원) 규모의 5000개 재건 사업과 민간 차원에서 추진 중인 320억달러(약 43조원, SMR 소형 원전·공항 재건·건설기계·철도차량·IT 분야 등) 규모의 10개 사업을 합친 것이다.실제 우리는 우크라이나 재건을 도울 산업 포트폴리오와 인프라 경쟁력을 두루 갖췄다. 관계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우크라이나는 지금 ‘한강의 기적’을 교과서에 넣고 6·25전쟁을 딛고 일어선 우리의 의지와 경험을 배우려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은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의 책무이기도 하다. 과거 많은 나라의 도움을 얻어 공산화 위기를 막았던 우리가 우크라이나의 고통을 외면할 수는 없는 일이다. 북한 김정은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노골적으로 연대하는 마당에 더 이상 좌고우면하거나 머뭇거릴 이유도 없어졌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가 결실을 거두려면 민간과 정부가 지금보다 더 긴밀하게 협력하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 아직 전쟁이 끝나지 않아 개별 기업 차원에선 위험이 크고, 사업자금 조달과 회수 등에도 정부가 주도하는 금융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와 함께 재건 사업 수주 경쟁에 나서고 있는 미국 유럽 등과의 경쟁도 염두에 둬야 한다. 이번 기회에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로드맵, 공적개발원조(ODA) 자금 지원을 위한 정책 가이드 라인, 기업들의 효율적인 사업 참여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등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