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간판 아래서 인증샷"…요즘 중국인들 '핫플'로 뜨는 곳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입력
수정
상하이 저녁 밝히는 '서울 야시장'…14억 中 시장의 딜레마한인 타운이 들어서 있는 상하이 홍신루는 요즘 트렌드에 밝은 중국 청년들의 명소로 불린다. 특히 ‘핫 플레이스’로 꼽히는 곳은 ‘서울 야시장’이다. 총천연색 네온사인으로 빛나는 한글 간판 아래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는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에 올릴 ‘인증샷’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다.
야시장 안으로 들어서면 한국식 포장마차가 양옆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퇴근길에 삼삼오오 모여 불판에 고기를 굽기도 하고, 상하이 인근 항저우나 쑤저우에서 고속철을 타고 상하이 밤 문화를 즐기러 온 관광객도 상당수다. 이곳에서 한국인을 찾기란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아야 할 정도로 어렵다.
코로나, 불황, 넷플릭스가 가져 온 상하이의 한류
상하이에 서울 야시장 간판이 올라간 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작년 초였다. 약 두 달간의 상하이 봉쇄령이 해제된 이후다. 내수를 살리는데 사활을 건 상하이 정부는 시민들이 지갑을 열 만한 공간을 만들고 싶어 했다. 그때 눈에 들어온 곳이 홍신루였다.때마침 넷플릭스를 타고 한국 콘텐츠가 전 세계를 휩쓸었다. 중국은 공식적으로 넷플릭스 시청을 금지했지만, 상하이 시민 대부분이 VPN을 설치해 한국 드라마를 시청했다. 정부 관료들과 대화할 때도 한국 콘텐츠로 ‘스몰 토킹’을 할 정도다. 상하이 정부가 ‘서울 야시장’이란 간판을 올린 배경이다.코로나 이전까지 중국엔 혐한 분위기가 팽배했다. 글로벌 시민이라고 자부하는 상하이 사람들도 한국 화장품 대신에 글로벌 명품이나 자국 상품으로 갈아탔다. 기자가 상하이를 방문한 9월경, 이 같은 흐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한인 청년 사업가가 만든 ‘제주 이자카야’라는 이름의 한국식 오마카세 전문점은 3개월 예약이 끝났을 정도로 인기다. 난징둥루 보행로에 있는 상하이 최대 아동복 전문 쇼핑몰에선 이랜드가 운영하는 뉴발란스 키즈가 전체 1등을 달리고 있다. 서울의 종로쯤 되는 상하이의 구도심(화이하이중루)에 있는 젠틀몬스터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평일에도 ‘핫 피플’들로 북적인다.
3570조 규모 장강삼각주의 중심인 상하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나 먼저 방한 의지를 시사한 것은 상하이 소비 시장의 변화와도 연결돼 있다. 상하이에 주재하는 한국 기업 법인장들은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로 반일 감정은 극에 달했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이전과 달리 대중을 동원한 여론전을 펼치지 않고 있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게다가 상하이는 2036년 올림픽 개최지를 노리고 있다. 코로나 봉쇄로 실추된 대외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외국인의 투자에 끊임없이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상하이 주재 한국법인 관계자는 “예전엔 상하이시가 푸둥을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 허브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는데 요즘은 IT 스타트업의 요람이라고 불리는 선전시를 경쟁 상대로 생각할 정도로 스타트업 유치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상하이 경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곳이 중국 경제의 ‘바로미터’이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상하이를 중심으로 장수, 절강, 안휘성 내 27개 중점 도시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장강삼각주 일체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중국 GDP의 약 4분의1 규모(약 3570조원)에 달하는 거대 경제권이다. 면적으로도 한국의 2.2배에 달한다.글로벌 명품처럼 고급화로 승부해야
1800년대까지만 해도 와이탄의 작은 어촌 마을에 불과했던 상하이는 불과 150년 여 만에 세계에서 가장 번성한 도시로 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모든 지방 정부에 '상하이처럼'을 외친다. 그래서 공무원들이 가장 많이 견학하는 곳이 상하이다. 이런 위상을 갖는 상하이에 한류가 불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상하이에서 K브랜드의 입지는 매우 좁다. 한때 상하이에만 수십 개의 할인점을 열며 월마트, 까르푸 등과 경쟁했던 이마트 상하이 법인은 한국으로 보낼 중국 상품의 소싱 업무만 하고 있다. CJ제일제당, 농심, 풀무원, 청정원이 만두, 두부, 라면, 파스타 밀키트 등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바닥 대비 성장률이 높을 뿐이다.중국 정부에 뒤통수를 맞은 롯데그룹은 ‘중국 쪽으로는 쳐다도 안 본다’라는 말을 할 정도다. K화장품의 쇠락은 더욱 극적이다. 상하이의 즐비한 쇼핑몰 1층은 블랙핑크와 뉴진스 멤버를 모델로 삼은 광고로 도배했지만,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화장품 브랜드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물은 이제 막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띄울 배도 없고 선뜻 나서는 사공도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14억명에 달하는 거대 소비 시장을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우리 기업의 딜레마다. 한가지 해답은 있다. 글로벌 명품 브랜드처럼 고급화 전략이 아니면 중국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것이다. 어설픈 브랜딩 전략으로는 중국의 애국주의 소비 물결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