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연내 중국 오프라인 80%에서 결제 가능"
입력
수정
해외 확장 본격 시동

18일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는 중국 베이징에서 특파원단 대상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가맹점과 사용자들의 입소문을 타면서 중국 내 결제 서비스 시작 5개월만에 중국 내 이용자 수(MAU)는 108배, 결제 건수는 193배, 결제액은 1263배 대폭 성장했다"고 밝혔다. 2018년부터 알리페이와 실무 논의를 시작한 카카오페이는 지난 3월부터 알리페이플러스의 중국 전 지역 가맹점에서의 카카오페이 결제를 본격 가동했다. 알리페이플러스는 해외 이용객의 중국 내 결제를 위해 알리페이가 구축한 서비스·가맹망으로, 수천만개의 중국 오프라인 매장이 가맹점으로 가입돼 있다. 국내 카카오페이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없이 거의 모든 중국 내 알리페이플러스 가맹점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결제 수수료가 싸다는 점도 카카오페이의 매력이다. 카카오페이로 해외 결제를 할 경우 환전 수수료와 결제망을 제공업체에 돌아가는 수수료가 부과되는데,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보다 더 낮게 책정돼 있어서다. 신 대표는 "카카오페이 서비스 확장으로 국내 소비자가 더 싸고 편리하게 해외 결제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전세계 50개 국가에서 기술적 서비스 연동 작업을 완료했고, 앞으로 결제 가능 가맹점수 확보에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에선 연내 전체 오프라인 매장의 80%에서 카카오페이 결제가 가능토록 하는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카카오페이의 서비스 확장으로 중국 등 해외 관광객들의 국내 결제도 더 간편해질 전망이다. 알리페이를 사용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카카오페이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간편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알리페이 뿐만 아니라 알리페이 네트워크와 연결된 G캐시(필리핀), 터치앤고(말레이시아), 트루머니(태국), 티나바(이탈리아), 페이페이(일본) 등과도 결제 연동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 방문객의 약 80%를 차지하는 아시아 주요 국가 페이 사업자들과 기술연동이 완료되면 해외 관광객들의 결제액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