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전 세계 중앙은행들, 高금리 유지하거나 추가 인상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현재의 고금리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거나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일각에서 제기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그 해법으로 피벗(pivot·금리 인하로 선회)이 아닌 보호무역주의 기조 철회를 제안했다.

OECD의 클레어 롬바델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9일(현지시간) "미국은 유럽 등에 비해 인플레이션 완화 증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감지되고 있긴 하지만, 물가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선언하고 금리 인하로 돌아서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중앙은행(Fed)과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의 통화 정책 결정을 앞두고 나온 주장이다.Fed는 이날부터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통화 정책을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Fed가 올해 두 번째로 금리 동결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Fed는 올해 6월 한 차례 기준 금리를 동결한 뒤 7월엔 다시 0.25%포인트를 올렸다. 오는 21일엔 영란은행도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한다. 영란은행은 기준 금리를 14회 연속 인상해 15년만에 최고치로 끌어올렸다.

OECD는 중간 경제 전망에서 "긴축(금리 인상) 통화 정책의 영향이 점점 더 가시화되고 있다"며 "기업과 소비자 신뢰가 하락세로 돌아섰고 중국의 경기 반등세가 약해졌다"고 밝혔다. 또한 "각국의 보호주의 조치의 물결이 글로벌 무역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경고하며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경기 둔화 조짐에도 불구하고 고금리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Fed가 2024년 하반기까지는 기준 금리를 현 수준(연 5.25~5.50%)으로 유지하고, 영란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은 추가 인상이 있어야 한다는 게 OECD의 주장이다.롬바델리 이코노미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중앙은행은 경제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기 전에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근원 인플레이션, 임금 상승 압력, 기업 가격 책정 등 많은 지표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6월 이후 국제 유가가 25% 상승하고 브렌트유는 배럴당 95달러에 육박하는 등 물가상승 징후가 완전히 가라앉은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다만 OECD는 "중국의 가파른 경기 둔화는 전 세계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중국 경기 둔화와 글로벌 금융 충격이 동시에 발생하면 전 세계 성장률이 3분의1 이상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경제 정책 입안자들이 단기적으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취할 수있는 가장 효과적인 조치는 최근에 세워진 각종 무역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했다. 경기 진작 해법은 '금리 인하'가 아닌 '보호주의 철회'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