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사 횔덜린과 안주인의 만남 [고두현의 아침 시편]

반평생
프리드리히 횔덜린


노랗게 익은 배와
거친 장미들이 가득 달린,
호수로 향한 땅,
너희 고결한 백조들,
입맞춤에 취한 채
차가운 물에 성스럽게
머리를 담근다.슬프도다, 겨울이면, 나는
어디서 꽃을 얻고, 어디서
햇빛과 지상의 그림자를
얻게 될까?
장벽들은 말없이
차갑게 서 있고, 바람결에
풍향계 소리만 덜걱거린다.
---------------------
‘빵과 포도주’로 유명한 독일 시인 프리드리히 횔덜린(1770~1843)이 30대 초반에 쓴 시입니다. 잘 익은 배와 장미, 고결한 백조가 등장하지만, 시 전편에 흐르는 정조는 쓸쓸하고 비극적이지요? 그 배경에는 안타까운 러브스토리가 배어 있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주제테 콘타르트. 그가 스물여섯 살 때 가정교사로 들어갔던 은행가 콘타르트의 부인입니다. 그는 온화하고 기품 있는 그녀에게서 그리스적인 아름다움과 조화의 화신을 발견했지요. 그녀도 그의 맑은 심성에 끌렸습니다. 그는 그녀를 디오티마(Diotima)라고 불렀고, ‘디오티마’ ‘디오티마를 애도하는 메논의 탄식’ 같은 작품까지 썼죠.소설 <히페리온>에서는 부인에게 디오티마라는 이름을 붙여주기도 했습니다. 디오티마는 플라톤의 <향연(饗宴)>에서 에로스를 예찬하는 여제사장이죠. 올바른 연애 과정은 육체의 아름다움에서 영혼의 아름다움으로, 나아가 아름다움 그 자체의 관조에까지 도달하는 것이라고 설파한 주인공입니다.

두 사람은 멀리 떨어져 있는 동안에도 짧은 밀회를 즐기며 편지를 자주 교환했지요. 그러나 가정교사와 안주인의 사랑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몇 년간의 간헐적인 이별 끝에 그녀는 병을 얻었고 결국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그녀의 마지막 편지에서 병과 죽음을 예감한 그의 마음은 찢어지는 듯했지만, 어찌할 도리가 없었지요. 그녀의 죽음 이후 그는 평생을 정신착란으로 비틀댔습니다. 그런 점에서 ‘반평생’이라는 작품은 그가 꿈꾸던 여인과의 사랑이 사별로 끝나고, 정신병자로서의 후반생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탄생한 비가(悲歌)라 할 수 있겠지요.비련의 아픔뿐만 아니라 세상의 밝음과 어둠, 생성과 소멸, 생의 이쪽과 저쪽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기도 합니다. 두 연으로 나눈 구성처럼 그의 일생을 양분하는 이미지까지 곁들여져 있으니 더욱 그렇지요.

독일 슈바벤의 네카어 강변 작은 도시 라우펜에서 태어난 그의 삶은 유년기부터 평탄하지 않았습니다. 수도원 관리인이던 아버지는 그가 두 살 때 돌아가셨고, 양아버지 또한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세상을 떴습니다.

집안 형편이 어려운 그는 수도원 학교를 겨우 졸업하고 튀빙겐대학 신학부에 장학생으로 들어갔지요. 그러나 어머니의 소원인 신학 공부보다는 고전 그리스어, 철학, 시 창작에 몰두했고 헤겔이나 셸링 등의 학우들과 교류하는 데 열중했습니다.졸업 후 가정교사가 된 뒤 주제테와의 사랑으로 한때 활력을 찾았으나 그마저 비극으로 끝나자 그는 온갖 곳을 방랑하며 다녔습니다. 30대 후반에는 거의 폐인이 돼 튀빙겐대학병원에 입원했지요. 다행히 그를 숭배하는 목수의 보살핌으로 네카어 강변의 집에서 살다 73세에 숨을 거뒀습니다.

그가 후반생을 보낸 강변의 집 ‘횔덜린 탑’은 그의 묘지, 비명(碑銘)과 함께 튀빙겐의 상징물이 돼 세계 각국 순례객을 맞고 있지요. 묘비에는 시 ‘운명’의 한 구절이 새겨져 있습니다.

‘폭풍 중 가장 성스런 폭풍 가운데/ 나의 감옥의 벽 허물어지거라./ 하여 보다 찬란하고 자유롭게/ 내 영혼 미지의 나라로 물결쳐 가라!’


■ 고두현 시인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유심작품상, 김만중문학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