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선 흔한 '연금 백만장자'…"증시 불안해도 연금은 안 깬다"
입력
수정
지면A5
노후 대비 이대론 안된다
(1) 연금 선진국을 가다…美의 비결은 '401K' 연금
401K, 10년간 연평균 8~10% 수익
30년 일하면 충분히 백만장자 돼
사적연금 적립금 규모 5경원 돌파
"증시·퇴직연금에 대한 믿음 굳건"

이병선 모건스탠리 뉴욕 본사 퇴직연금디렉터는 “연금 백만장자는 이제 평범한 사례가 됐다”며 “미국 대졸자가 30년 이상 성실하게 직장생활을 했다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증시 활황으로 연금자산 200만달러를 넘긴 고객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취업할 때 401K 매칭 비율 따져
미국인의 넉넉한 노후소득을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게 401K다. 401K를 중심으로 한 사적연금 제도가 다른 국가보다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공적연금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보다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인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39.2%로 한국(31.2%)보다 8%포인트 높은 수준이지만 사적연금 소득대체율은 42.1%로 한국(19.6%)의 두 배가 넘는다.401K가 대세로 자리잡은 배경에는 세제 혜택이 있다. 정부는 401K 적립금 투자로 얻은 이익에는 과세를 최대한 유예해준다. 또 근로자에게 소득세를 부과할 때 401K에 적립하는 금액은 과세표준에서 제외해 주고 있다. 이 기준은 1987년 연 7000달러에서 꾸준히 올라 현재 2만2500달러(50세 이상은 3만달러)까지 높아졌다.은퇴 후 401K 계좌에서 적립금을 인출할 때도 낮은 소득세율을 유지해 준다. 중도에 해지하면 높은 소득세와 함께 10%에 달하는 벌금을 내도록 해 401K가 근로자의 노후자금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기업에도 401K 적립금에 대해서는 특별법인세를 면제해줘 세금 부담을 덜어줬다. 2006년 연금보호법 제정으로 자동 가입 제도가, 2007년 근로자가 운용 지시를 내리지 않으면 금융사가 대신 운용할 수 있게 하는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도입되면서 401K는 더 힘이 강해졌다.
미국 증시에 대한 믿음…연금런 없어
최근 10년간 미국 401K의 연평균 수익률은 8~10%에 이른다. 401K 연금 자산의 42%는 주식형 펀드에, 31%는 디폴트옵션의 대표 상품인 타깃데이트펀드(TDF)에 투자돼 있다.장기 투자와 복리효과의 마법은 시너지를 일으켜 수십만 명의 연금 백만장자를 탄생시켰다. 최근엔 MZ세대를 중심으로 이른 시간 안에 연금 백만장자가 되기 위한 플랜이 유튜브 등 SNS에서 유행할 정도다. 고학력 직장인은 주식형 펀드, 생산직 근로자 등은 TDF를 많이 선택한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디폴트옵션과 401K로 조성된 자금은 미국 주식시장의 안전판으로도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401K 적립금 규모는 2010년 4조8000만달러에서 2021년 말 11조달러로 불어났다. 개인연금인 IRA 등까지 합친 사적연금 적립금 규모는 39조3000억달러(약 5경2500조원)에 달한다. 세이버그 매니징디렉터는 “증시 흐름이 불안할 때도 연금을 깨는 연금런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적립금 규모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주식시장이 10년간 꾸준히 아웃퍼폼해오면서 미국 증시와 퇴직연금 제도의 안정성에 대한 믿음이 굳건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뉴욕=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