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은 포기 못해"…애플의 '중국+1' 등 각양각색 전략

사진=REUTERS
올해 들어 글로벌 기업들의 대중국 사업 전략이 탈동조화에서 탈리스킹으로 바뀐 가운데, 중국을 위한 중국(China for China) 전략이 가장 선호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중국 내 소비용 제품만 생산하도록 중국 사업장을 재편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컨설팅기업 트리비움 차이나의 트레이 맥아버 컨설턴트는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글로벌 기업 대부분은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 시장에 대한 대안이 없다"면서도 "훨씬 더 위험성이 높은 환경에서 기업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유럽 등 서방은 지난해까지 전 세계 공급망을 중국으로부터 분리한다는 의미의 탈동조화를 주장했지만, 올해 들어 '덜 적대적인' 의미의 탈리스킹을 내세우고 있다. 무조건적인 공급망 단절보다는 중국과의 거래에서 위험성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는 취지다.
사진=XINHUA
FT는 "그러나 기업들이 아직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명확한 전략을 수립하지 못했다"며 "대부분은 △일부사업 매각 △투자결정 지연 △중국시장에만 서비스 제공 등 중국 사업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갖가지 옵션을 저울질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유럽외교관계위원회의 아가테 드마레 선임 정책 연구원은 "유럽은 여전히 탈리스크가 무엇이며 이를 실제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탈위험화의 한 형태로서 현지화 전략에 대한 민간 부문의 논의가 훨씬 더 많아지긴 했지만 이런 투자가 결실을 맺는지 여부는 몇년이 지나야 알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내 생산을 완전히 중단할 계획을 밝힌 곳은 미국 완구업체 해즈브로 등 일부에 불과하다. 애플, 인텔처럼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들도 있다. 중국 공장을 유지하면서 인도나 동남아시아 국가 등 다른 지역에도 신규 생산기지를 세워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전략이다.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도 중국의 부품 공급업체들에 "중국 외 생산기지를 추가로 확보하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
사진=AP
가장 많이 검토되는 전략은 '중국을 위한 중국'이다. 중국 사업부를 분사해 홍콩 증시에 상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가 대표적이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중국 당국의 외국 기업 규제 움직임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 조달 지침에 따라 중국 병원이나 국가 기관들은 중국산 제품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급망 현지화 움직임도 있다. 또 다른 제약기업 머크는 지난 5월 미국산 원료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중국 공급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등 중국 외 지역은 중국 당국의 제재에 취약하다는 이유에서다.독일기계공업협회(VDMA)에 따르면 회원사의 3분의1 이상이 중국산 또는 미국산 부품이 포함되지 않은 '중립'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대체 공급업체를 찾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과 중국 시장 모두에 중단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해 중국에 40억유로 투자를 결정한 폭스바겐그룹의 대중국 해법도 '중국을 위한 중국' 전략에 가깝다. 랄프 브란트슈테터 폭스바겐 이사회 임원은 "중국 사업에 더 많은 자율성과 의사 결정권을 부여할 것"이라며 "중국 법인은 점차 제2의 본사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럽 칩 제조업체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2021년 중국 영업·마케팅 기능을 아태 사업부에서 분리하고, 급여와 직원 관리 및 보고 등 체계를 아예 따로 구축했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이 같은 조직 개편은 중국 부문을 더 쉽게 개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중국 주재 유럽상공회의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유럽 기업의 11%는 이미 중국 밖으로 투자를 재배치했으며, 22%는 그러한 전환을 결정했거나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주중 미국 상공회의소도 "올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미국 그룹의 12%가 소싱처를 중국 밖으로 이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또 다른 12%는 이미 이전을 끝냈다고 응답했다"고 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