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던지는 美헤지펀드…증시 비관론 '스멀스멀'
입력
수정
지면A19
매도 포지션 급증…공매도 늘어미국 헤지펀드가 증시에서 쇼트(매도) 포지션으로 돌아서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올해 더 오르고 고(高)금리가 장기화하면 증시가 침체할 것이라는 비관론을 반영했다. 헤지펀드의 대량 매도가 미국 증시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골드만삭스 브로커리지팀 분석을 인용해 헤지펀드들이 최근 한 주(18~22일 기준) 동안 매도 포지션으로 선회했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골드만삭스를 이용하는 헤지펀드의 순레버리지(매도 대비 매수 포지션 비율)는 전주 대비 4.2%포인트 하락한 50.1%를 기록했다. 주간 기준으로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3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투자자의 증시 비관론이 강할 때 순레버리지가 하락한다. 같은 기간 헤지펀드의 총레버리지(매도와 매수 포지션을 합산한 값)는 195%대로 급격히 상승했다. 시장에선 총레버리지가 증가한 이유로 공매도를 꼽았다. 투자 주체가 공매도 주문을 급격히 늘리게 되면 순레버리지는 하락하고 총레버리지는 상승해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간체이스, 모건스탠리와 거래하는 헤지펀드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헤지펀드가 이같이 결정한 배경에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있다. Fed는 지난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긴축 장기화를 시사했다. 금리 전망을 나타낸 점도표에 따르면 연말까지 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릴 수 있다. 금리 인상은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는 보통 악재다.
최근 뉴욕증시가 하락한 이유 중 하나로 헤지펀드의 매도세가 꼽힌다. 미국 증시 대표지수인 S&P500은 19일부터 5거래일간 하락세가 이어지며 2.6% 떨어졌다. 올해 최고점인 7월 말에 비교하면 5.5% 하락했다. S&P500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분기 25.41배에서 25일 기준 19.24배로 내려앉았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