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무제한 교통카드, 경기·인천 참여 고심
입력
수정
지면A24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협업 추진
시·도 교통국장 협의체 열렸지만
교통 체계 통합비용 등 이견도
국토부 내년 'K패스' 시행 앞둬
산하기관인 코레일 참여도 변수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27일 은평공영차고지를 찾아 ‘기후동행카드’를 소개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677525.1.jpg)
경기·인천 “시범 사업 후 결정”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679543.1.jpg)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으로 50만 명이 혜택을 보고, 75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시와 시내·마을버스 회사 등이 ‘덜 받게 될 요금’은 함께 부담하는 구조다.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출퇴근하는 도민은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되고, 경기도와 인천시에선 기본요금이 3000원으로 시내버스에 비해 훨씬 비싼 광역버스도 운영한다.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한다면 서울시보다 훨씬 더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이에 경기도와 인천시는 우선 내년 1~5월 서울시 시범사업의 데이터를 받아본 뒤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다른 사업과의 연관성, 예산 상황 등 고려할 요소가 많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시·군마다 공공제, 민영제로 방식이 달라 가뜩이나 어려운 요금 분담 문제가 더욱 꼬일 수 있다”며 “아직은 국토부의 할인형 K패스를 도입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국토부 설득은 ‘필수’
서울시도 당장 경기도·인천시의 참여가 어렵고, 광역버스도 기후동행카드 대상에 넣기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소한 수도권 전철까지 포함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고 있다.이를 위해선 반드시 국토부를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소요산~청량리, 서울역~인천·신창과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강경선, 경춘선, 서해선 등의 상당 구간을 국토부 산하 코레일이 운영하고 있어서다. 공항철도와 신분당선 등도 국가철도공단 등을 통해 국토부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구조다.
하지만 국토부는 지난 8월 말 소득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최대 53%를 환급해주는 ‘K패스’ 사업을 내년 하반기 시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사용자가 대중교통 요금으로 납부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달 돌려주는 정책으로 기후동행카드와 직접적 경쟁 관계가 될 전망이다. ‘수도권 교통 문제 해결사’라는 이미지를 놓고, 오 시장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김포골드라인 사태에 이어 또다시 대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서울시는 경기도·인천시의 경우 기후동행카드 참여가 불가피한 처지고 여론이 합세할 경우 국토부도 전향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월 6만5000원 요금제에 대한 수도권 주민의 관심이 높기 때문이다. 오 시장은 지난달 말 북미 출장 중 열린 간담회에서 “시간이 문제일 뿐 (경기도와 인천시가) 거의 100% 동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