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반도체 전쟁, 대만 점유율 하락…중국은 오히려 수혜"

시장조사업체 IDC보고서

대만은 첨단기술 유출 방지대책 강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의 대(對)중국 첨단 반도체 산업 견제 정책에도 중국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늘어나고 대만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에 이어 EU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술 탈취를 막기 위해 첨단 기술 수출통제 법률·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섰고, 대만도 연말까지 핵심기술 리스트를 만들어 수출 심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시장조사업체 IDC의 보고서를 인용해 대만의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점유율이 올해 46%에서 오는 2027년 43%로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만의 반도체 외주패키징기업(OSAT) 점유율 역시 지난해 51%에서 2027년 47%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중국 파운드리 점유율은 올해 27%에서 2027년 29%로, OSAT 점유율은 작년 22.1%에서 2027년 22.4%로 각각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세계 각국이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특정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중국 플러스 1' 또는 '대만 플러스 1' 생산 계획을 채택해 대만은 점유율이 오히려 하락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대만은 세계 반도체의 60% 이상, 첨단 반도체의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중국은 첨단 반도체 부문에선 고전하지만 기존 기술 공정에선 내수와 국가 보조 정책에 힘입어 약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헬렌 치앙 아시아·태평양 반도체 연구 책임자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반도체법(CHIPS Act) 등이 시행되면서 반도체 기업들이 파운드리·조립·시험의 글로벌 배치를 점검하게 됐다"며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협력에서 다지역 경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OSAT의 경우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 국가의 점유율이 2027년 10%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점쳤다.

이날 연합시보와 자유시보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가안전회의(NSC) 구리슝 비서장은 연내 핵심기술 목록을 발표해 유출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노리는 반도체 설계 분야 뿐만 아니라 농업, 항공우주와 정보통신기술(ICT)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기 현재 중국 대륙지역, 홍콩, 마카오 및 해외 적대세력과 관련된 '국가안전법' 제3조의 규정의 핵심 기술을 점검 중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