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레에다 히로카즈에게 학교란…"모두가 누군가의 괴물이다"
입력
수정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고레에다 히로카즈 '괴물'
남들 눈에 '괴물'로 비친
두 소년의 사랑 이야기
올해 칸국제영화제 각본상 수상
류이치 사카모토가 음악 맡아

영화 '괴물'(2023)의 후반부. 초등학생 미나토가 교장 선생님 앞에 조심스럽게 털어놓는다. 그의 담임은 그한테 폭언과 구타를 했다는 이유로 사회적 매장을 당한 상태다. 전부 오해에서 비롯한 일이다. 무엇이 미나토가 진실을 말하는 것을 가로막았을까.

현대 일본 영화계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는 '아무도 모른다'(2004)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 '어느 가족'(2018) 등에서 사회 문제를 깊이 있게 조명해왔다. 사카모토 유지가 각본을,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은 '괴물'은 올해 칸 국제영화제 각본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어지는 담임의 시점은 사건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준다. 문제를 조용히 덮으려는 학교로 인해 학부모와 소통이 차단된 게 시작이었다. 그가 보기엔 오히려 미나토가 동급생 호시카와를 괴롭히고 있었다. 하지만 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퍼졌다. 급기야 언론에까지 보도되며 그의 삶은 망가진다.
다시 미나토와 교장의 문답. 교장은 이렇게 답한다. "몇몇 사람만 가질 수 있는 건 행복이라 하지 않아.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걸 행복이라 하는 거야." 소년의 시점에서 학생 인권과 교권, 동성애까지 풀어낸 '괴물'. 고(故)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악이 흘러나오는 엔딩 장면이 이들의 사연을 더 안타깝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