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장사' 끝나가나…4대 금융 순이익 감소

은행 3분기 순이익 4.3조 추정
작년 동기 대비 10.6% 줄어
조달비용 증가로 수익성 악화

충당금 추가 적립 압박 커질 듯
저원가 예금 많은 KB만 순익 증가
이자이익을 앞세운 은행권의 ‘실적 잔치’가 끝나가고 있다. 조달비용 증가로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하락세로 돌아선 데다 미래 손실에 대비해 추가 충당금을 적립해야 해서다. 요구불예금 등 저원가로 조달한 예금이 풍부한 국민은행을 자회사로 둔 KB금융만 나홀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비이자이익도 줄어들 듯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날 기준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올해 3분기 합산 당기순이익(지배주주 순이익 기준) 예상치는 4조3685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였던 작년 3분기(4조8876억원)보다 10.6%(5191억원) 줄어든 수치다.

신한금융의 3분기 순이익은 1조228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5946억원)에 비해 22.9%(3658억원)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다. 계열사인 신한투자증권이 사모펀드 고객 배상 과정에서 1000억원 안팎의 영업외 손실이 발생했고, 신한은행 희망퇴직 비용 800억원 등이 반영된 결과다. 여기에 지난해 3분기 인식된 신한투자증권의 서울 여의도 사옥 매각 이익(3220억원) 기저 효과도 있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도 3분기 순이익이 전년보다 각각 16.0%, 6.4% 줄어든 9420억원과 8413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지주 순이익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은행의 NIM이 하락한 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은행권의 올 3분기 NIM은 전분기보다 0.02%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증권업계에선 보고 있다. 집값 상승 기대 속에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이 증가하고 기업대출도 늘었지만 시장금리 상승 여파로 은행의 조달금리가 더 많이 오르면서 NIM을 끌어내렸다. 작년 하반기 판매한 연 4~5%대 고금리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은행의 이자 지급 비용도 늘었다. 유가증권과 외환·파생 손익, 수수료 수익 등 비이자이익 전망도 어둡다. 한 시중은행 재무담당 임원은 “금리 상승으로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줄어든 데다 환율 변동성 확대로 외환 관련 손실이 커지면서 비이자이익도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했다.

부실 대출 증가 우려도

KB금융은 국민은행의 NIM이 전분기보다 0.01~0.02% 상승하면서 3분기 순이익이 1조3564억원으로 전년보다 6.7%(851억원)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저원가성 예금인 요구불예금이 증가하면서 조달비용을 낮췄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지난 9월 말 요구불예금 잔액은 146조5795억원으로 6월 말(146조40억원)보다 5000억원 넘게 늘었다. 신한·하나·우리은행보다 요구불예금이 20조~30조원 더 많다. 국민은행의 막대한 저원가성 예금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3700만 명의 고객 수에서 나온다는 분석이다. 국민은행이 1963년 서민금융 전담 은행으로 문을 열어 개인 고객이 많고, 주택청약저축 등 서민주택금융 은행이었던 주택은행과 2001년 합병한 점도 이유로 꼽힌다.

하지만 부실 대출 증가에 따른 추가 충당금 적립은 4대 금융 모두에 부담이다. 4대 은행의 올 6월 말 요주의여신(1~3개월 연체) 총액은 6조8483억원으로 작년 12월 말(6조2642억원)에 비해 10% 가까이 늘었다. 4대 금융은 올 상반기 작년(1조9963억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은 3조9242억원에 달하는 충당금을 쌓았지만 하반기 충당금을 더 늘릴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은행권이 3분기부터 대출채권이 부도났을 경우 은행이 회수하지 못하는 손실액을 뜻하는 부도시 손실률(LGD) 기준을 강화하기로 해 충당금 추가 적립이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