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MoMA 발칵 뒤집은 AI 예술가, 이번엔 63빌딩 점령했다 [이선아의 걷다가 예술]

[인터뷰] AI로 모마 뚫은 세계적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

어릴 적 본 SF영화 계기로 기술에 관심
인간 고유의 감정·기억을 AI에 접목해
모마·디즈니도 '러브콜' 보내는 스타

63빌딩 동쪽로비에 5m 높이 영상작품 설치
K팝 뮤직비디오·행복 뇌파 등 데이터 수집해
AI로 학습시켜..."한국인의 희노애락 표현"
뉴욕 현대미술관(MoMA) 1층에 전시된 레픽 아나돌의 작품. /MoMA 유튜브 캡쳐
"인공지능(AI)이 여기까지 침투하다니, 이건 기념비적 순간이다."

지난해 11월 전세계 외신과 미술 전문지들은 이런 내용의 기사를 쏟아냈다. 기사의 주인공은 뉴욕 현대미술관(MoMA·모마) 1층에 걸린 높이 8m의 초대형 미디어아트 작품. 튀르키예계 미국인 작가 레픽 아나돌(38)이 AI를 활용해 만든 것이다.시시각각 색깔과 형태가 변하는 이 작품은 모마가 200년간 수집한 예술품 13만8000여 점, 그날의 날씨, 관람객의 움직임 등 각종 데이터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한 결과다. 'AI 작품이 예술이냐, 아니냐'를 놓고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현대미술의 정수'로 꼽히는 모마가, 그것도 관람객을 처음 맞는 로비에 AI 작품을 전시한 것이다. 어찌나 인기가 많은지 모마는 아나돌의 작품 전시 기간을 네 번이나 연장했다.
여의도 63빌딩 동쪽 로비에 설치된 레픽 아나돌의 '희로애락'. /한화생명 제공
이와 비슷한 작품이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동편 로비에 걸렸다. 50인치 TV 100대를 합친 크기(가로 12m, 세로 5.4m)의 스크린엔 형형색색의 물감과 파도가 끊임없이 일렁인다. 제목은 '머신 시뮬레이션: 라이프 앤 드림스 - 희로애락'. 아나돌이 K팝 뮤직비디오 등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영상·음성 데이터 189만 건을 AI에 학습시켜서 만든 것이다.

'AI 예술의 선구자' 아나돌의 작품이 한국에 영구 설치된 건 이번이 처음. 작품 설치를 기념해 최근 한국을 찾은 아나돌을 아르떼가 단독으로 만났다.

◆미술계 '스타'가 된 '아웃라이어'

"저를 한 마디로 하면 '미술계의 아웃라이어'였어요. 전통적인 미술 학교를 나오지도 않았고, 학창시절엔 게임과 AI 공부에 빠져있었거든요. 미술계 사람들보다는 실리콘밸리 사람들과 말이 더 잘 통했다니까요." 서울 일대가 쫙 내려다보이는 63빌딩 고층 사무실에서 만난 그에게 '어떻게 AI와 예술을 접목하게 됐냐'고 묻자, 그는 유쾌한 웃음과 함께 이렇게 답했다.
아르떼와 인터뷰하고 있는 레픽 아나돌. /이솔 기자
그를 AI에 빠지게 한 건 8살 때 봤던 영화 '블레이드 러너'였다. 그는 "사람의 기억이 데이터 베이스가 되고, 그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콘셉트가 굉장히 신선했다"며 "그 영화를 본 후 계속해서 미래 세계와 기술에 대해 꿈꾸게 됐다"고 말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아나돌의 상상은 현실이 됐다. 그는 '기억과 감정'이라는 인간 고유의 영역을 데이터화해서 기계에 학습시켰다. 그리고 이를 영상으로 만들어 예술 작품으로 선보였다. 2015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샌프란시스코의 한 빌딩에서 선보인 '버츄얼 디픽션스'가 시작이었다.AI가 만든 빛의 조각들이 차가운 콘크리트를 수놓는 신선한 광경에 미술계는 '러브콜'을 보내기 시작했다. 샬롯 더글러스 국제공항(2018),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2018),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2019) 등 세계 곳곳에 있는 랜드마크는 곧 그의 캔버스가 됐다.

◆"희노애락은 한국만의 독특함"

63빌딩에 전시된 이번 작품도 마찬가지다. 거대한 스크린 속에서 형체 모를 이미지는 오묘한 음악과 함께 끊임없이 변주한다. 그는 그 안에 '한국인의 감정'을 담았다고 했다. '희노애락'이란 제목에 맞게 행복을 느낄 때 나타나는 뇌파, 불꽃놀이, 한국 전통 음악, K팝 뮤직비디오 등 각종 오픈소스 데이터를 긁어모아 만든 AI 작품이다.
아르떼와 인터뷰하고 있는 레픽 아나돌. /이솔 기자
"한국은 독특하고 활력이 넘치는 곳이에요. '희노애락'이란 단어를 처음 알았을 때 이런 한국의 유니크함을 잘 표현하는 단어라고 생각했죠. 이렇게 복잡미묘하고 다양한 감정을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영어에도, 제 모국어인 터키어에도 없거든요."AI 작품이라고 하면 클릭 한 번만으로 쉽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 한 작품을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은 총 6개월. 아나돌과 그의 팀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만 수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아나돌이 "내 생애 가장 많은 뮤직비디오를 봤던 순간"이라고 말할 정도다.

'AI 작품은 도대체 인간이 만든 거냐, 기계가 만든 거냐'는 고질적 질문에 그가 "기계인 동시에 여전히 인간의 영역"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AI 작품은 독창성과 고유성이 없다고들 생각하지만, 사실은 인간의 창의성이 꼭 필요하죠. 그런 점에서 제 작업은 '비인간 속에서의 인간성'을 찾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예술은 모든 사람의 것"

하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AI 예술에 대한 경계심도 있다. AI에게 인간 고유의 창작의 영역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다. AI 예술을 선도하고 있는 그는 어떻게 생각할까. 그는 "당연한 현상"이라고 잘라 말했다.
아르떼와 인터뷰하고 있는 레픽 아나돌. /이솔 기자
"예술뿐만이 아니에요. AI는 모든 분야에 침투하고 있잖아요. AI에 대한 두려움과 우려는 지금보다 더 커질 겁니다. 하지만 모두가 두려움과 피해망상에 사로잡히기보다는 가능성을 바라보기를 바라요. 그 속에서 인간과 기계의 균형을 찾아나가야 하는 거죠."

그는 자신의 작품이 이를 한 번쯤 고민해보는 계기점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그가 미술관이 아닌, 누구나 작품을 볼 수 있는 63빌딩 로비에 전시한 이유다."미술관이나 갤러리,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벽과 문이 예술의 다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아트 포 올(Art For All), 어디에나 있고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예술. 그게 제가 생각하는 미래의 예술입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