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렌 ‘가을의 노래’에 얽힌 사연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입력
수정
가을의 노래
폴 베를렌
가을날
바이올린 가락
긴 흐느낌
하염없이
내 마음 쓰려라.종소리
가슴 메여
나 창백히,
지난날 그리며
눈물 흘리네.
쇠잔한
내 신세
모진 바람 몰아치는 대로
이리저리 불려 다니는
낙엽 같아라.
-----------프랑스 시인 폴 베를렌(1844~1896)의 시 중에서 가장 유명한 ‘가을의 노래(Chanson d’automne)’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을 갑작스레 잃고 썼다고 하지요. 가을날의 쓸쓸한 마음을 부드럽고도 비애 섞인 리듬으로 잘 표현한 시입니다.
이 시는 그가 스물세 살 때 사랑하는 여인을 잃고 썼다고 하는데, 그녀는 어릴 때 함께 자란 사촌 누나였습니다. 금지된 사랑이었으므로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사연. 그녀가 다른 사람과 결혼했기에 더욱 그랬습니다. 첫 시집 <우수시집(憂愁詩集)>의 출판 비용을 대 준 것도 그녀였죠. 그러나 시집이 나온 이듬해인 1867년 그녀는 산고 끝에 병을 얻어 31세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충격을 받은 그는 폭우 속을 뚫고 장례식장으로 달려갔지요. 눈물과 빗물 범벅이 된 그는 이틀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술만 마셨습니다. 몇 달 뒤 그곳을 다시 찾은 그는 무덤 앞에서 생과 사의 경계를 생각하며 이 시를 썼습니다.바이올린 가락의 ‘긴 흐느낌’과 종소리의 ‘가슴 메는’ 아픔이 영혼의 밑바닥을 건드립니다. 인간 내면의 바닥을 음악적인 상징으로 끌어낸 솜씨도 탁월하지요. 종소리의 ‘가슴 메는’ 느낌은 아스라한 옛날의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 같은 청각적 심상과 시각적 이미지가 가을이라는 계절과 어우러져 더욱 깊은 울림을 주지요.
베를렌은 근대 언어 음악의 선구자이자 상징주의 시의 주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첫 시집에서부터 상징주의 경향을 보였지요. 그를 비롯한 상징주의자들은 낱말의 음악성을 중시하면서 의미보다는 암시를 통해 시적 성취를 이루려고 했습니다. 단어의 소리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의미보다 더 강한 ‘마법의 주문’을 만들 수 있다고 믿었지요.
그는 위대한 작품을 썼지만, 세속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이른바 ‘저주받은 시인들’ 중의 한 명이기도 합니다.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온갖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으나 때로는 고집불통에 사고뭉치였죠.결혼 후에도 안주하지 못했습니다. 매일같이 술에 취해 지냈고 툭하면 고함을 질러댔지요. 시인 랭보와의 파멸적인 동성애로 가정 안팎의 지탄까지 받았습니다. 결국 랭보에게 총을 쏘는 비극으로 둘의 관계는 끝났지만, 그의 정신적 공황은 이후 계속됐지요.
영화 ‘토탈 이클립스’에 나오듯이 그의 고통은 극단의 외로움과 맞물려 있습니다. 그의 시에서 느껴지는 아픔과 고독은 많은 독자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불운한 인생에서 피어난 꽃이기에 시의 울림도 남달랐지요.
그의 시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김소월의 스승이자 시인·번역가인 김억(金億)은 1920년 간행한 문학동인지 <폐허>에 베를렌의 시 20여 편을 번역해 실었습니다. 그는 특히 ‘가을의 노래’에 내재된 음악성을 번역어에 담기 위해 고심했지요.
나중에도 여섯 차례나 이 시를 여러 출판물에 실었습니다. 그때마다 문장을 손질하며 더 나은 번역을 모색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에도 베를렌의 이 시와 함께 보들레르 등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들의 작품을 85편이나 수록했지요. 그가 원문의 풍부한 음악성을 얼마나 잘 담아내려 했는지 다음의 번역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가을의 날/ 비오론의/ 느린 오열(嗚咽)의/ 단조(單調)로운/ 애닯음에/ 내 가슴 압하라.// 우는 종(鐘)소리에/ 가슴은 막키며/ 낫빗은 희멀금,/ 지나간 넷날은/ 눈압헤 떠돌아/ 아아 나는 우노라.// 설어라, 내 영(靈)은/ 모진 바람결에/ 흐터져 떠도는/ 여긔에 저긔에/ 갈 길도 몰으는/ 낙엽(落葉)이러라.’
■ 고두현 시인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유심작품상, 김만중문학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폴 베를렌
가을날
바이올린 가락
긴 흐느낌
하염없이
내 마음 쓰려라.종소리
가슴 메여
나 창백히,
지난날 그리며
눈물 흘리네.
쇠잔한
내 신세
모진 바람 몰아치는 대로
이리저리 불려 다니는
낙엽 같아라.
-----------프랑스 시인 폴 베를렌(1844~1896)의 시 중에서 가장 유명한 ‘가을의 노래(Chanson d’automne)’입니다. 사랑하는 여인을 갑작스레 잃고 썼다고 하지요. 가을날의 쓸쓸한 마음을 부드럽고도 비애 섞인 리듬으로 잘 표현한 시입니다.
이 시는 그가 스물세 살 때 사랑하는 여인을 잃고 썼다고 하는데, 그녀는 어릴 때 함께 자란 사촌 누나였습니다. 금지된 사랑이었으므로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사연. 그녀가 다른 사람과 결혼했기에 더욱 그랬습니다. 첫 시집 <우수시집(憂愁詩集)>의 출판 비용을 대 준 것도 그녀였죠. 그러나 시집이 나온 이듬해인 1867년 그녀는 산고 끝에 병을 얻어 31세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충격을 받은 그는 폭우 속을 뚫고 장례식장으로 달려갔지요. 눈물과 빗물 범벅이 된 그는 이틀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술만 마셨습니다. 몇 달 뒤 그곳을 다시 찾은 그는 무덤 앞에서 생과 사의 경계를 생각하며 이 시를 썼습니다.바이올린 가락의 ‘긴 흐느낌’과 종소리의 ‘가슴 메는’ 아픔이 영혼의 밑바닥을 건드립니다. 인간 내면의 바닥을 음악적인 상징으로 끌어낸 솜씨도 탁월하지요. 종소리의 ‘가슴 메는’ 느낌은 아스라한 옛날의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 같은 청각적 심상과 시각적 이미지가 가을이라는 계절과 어우러져 더욱 깊은 울림을 주지요.
베를렌은 근대 언어 음악의 선구자이자 상징주의 시의 주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첫 시집에서부터 상징주의 경향을 보였지요. 그를 비롯한 상징주의자들은 낱말의 음악성을 중시하면서 의미보다는 암시를 통해 시적 성취를 이루려고 했습니다. 단어의 소리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의미보다 더 강한 ‘마법의 주문’을 만들 수 있다고 믿었지요.
그는 위대한 작품을 썼지만, 세속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이른바 ‘저주받은 시인들’ 중의 한 명이기도 합니다.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온갖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으나 때로는 고집불통에 사고뭉치였죠.결혼 후에도 안주하지 못했습니다. 매일같이 술에 취해 지냈고 툭하면 고함을 질러댔지요. 시인 랭보와의 파멸적인 동성애로 가정 안팎의 지탄까지 받았습니다. 결국 랭보에게 총을 쏘는 비극으로 둘의 관계는 끝났지만, 그의 정신적 공황은 이후 계속됐지요.
영화 ‘토탈 이클립스’에 나오듯이 그의 고통은 극단의 외로움과 맞물려 있습니다. 그의 시에서 느껴지는 아픔과 고독은 많은 독자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불운한 인생에서 피어난 꽃이기에 시의 울림도 남달랐지요.
그의 시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김소월의 스승이자 시인·번역가인 김억(金億)은 1920년 간행한 문학동인지 <폐허>에 베를렌의 시 20여 편을 번역해 실었습니다. 그는 특히 ‘가을의 노래’에 내재된 음악성을 번역어에 담기 위해 고심했지요.
나중에도 여섯 차례나 이 시를 여러 출판물에 실었습니다. 그때마다 문장을 손질하며 더 나은 번역을 모색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시집 <오뇌의 무도>에도 베를렌의 이 시와 함께 보들레르 등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들의 작품을 85편이나 수록했지요. 그가 원문의 풍부한 음악성을 얼마나 잘 담아내려 했는지 다음의 번역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가을의 날/ 비오론의/ 느린 오열(嗚咽)의/ 단조(單調)로운/ 애닯음에/ 내 가슴 압하라.// 우는 종(鐘)소리에/ 가슴은 막키며/ 낫빗은 희멀금,/ 지나간 넷날은/ 눈압헤 떠돌아/ 아아 나는 우노라.// 설어라, 내 영(靈)은/ 모진 바람결에/ 흐터져 떠도는/ 여긔에 저긔에/ 갈 길도 몰으는/ 낙엽(落葉)이러라.’
■ 고두현 시인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유심작품상, 김만중문학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