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욱진, 韓 경매시장 침체 방어카드로 등판

찬바람 불어오는 아시아 경매

소더비 홍콩 낙찰액 예상의 절반
모딜리아니 초상 800만弗 하락
中 경기 나빠지고 부자들 '위축'

국내 경매사들, 中 컬렉터 대신
한국인 좋아하는 작품 전면에
소더비가 지난 5일 홍콩에서 연 경매 현장. 모딜리아니 작품이 예상을 훨씬 밑도는 가격에 낙찰됐다. /소더비 제공
지난 5일 소더비 홍콩 경매에서 아메데오 모딜리아니(1884~1920)의 초상화 ‘폴레트 주르댕’이 3490만달러(약 473억원)에 낙찰되자 미술계가 술렁였다. ‘누구나 아는 거장의 명작’인데도 가격이 폭락했기 때문이다. 2015년 소더비 뉴욕 경매에서 4280만달러(약 580억원)에 팔렸던 작품이다.

다른 여러 작품도 마찬가지 신세였다. 이날 1700억원에 이를 것이라던 낙찰가 총액은 실제 943억원에 그쳤다. ‘시장 상황이 그리 나쁘지 않다’던 아시아 미술시장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미술품과 거리 두는 중국 부자들

소더비 경매에서 ‘큰 장’이 열린 배경을 알면 아시아 미술 경매시장이 얼어붙은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이날 롱뮤지엄 컬렉션 경매는 중국의 억만장자 수집가 류이첸과 왕웨이 부부의 소장품을 판매하는 자리였다. 억만장자 수집가들이 명작을 시장에 내놓는 경우는 몇 가지 안 된다. 본인이 죽거나, 이혼하거나, 사업이 망하거나 등이다. 하지만 이들 부부는 세 가지 이유 가운데 어느 하나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롱뮤지엄 측은 “새로운 작품을 사기 위한 돈이 필요했다”고 했지만 곧이곧대로 듣는 사람은 거의 없다.

김빠진 경매는 이튿날 필립스 홍콩 경매에서도 반복됐다. 낙찰총액은 약 32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 열린 경매 낙찰총액(455억원) 대비 28% 감소했다.

미술계에서는 “중국 부자들이 지갑을 닫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위기가 겹치면서 슈퍼 리치들도 타격을 입었다는 얘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강조한 ‘공동 부유’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시 주석은 “모든 국민이 공동으로 잘사는 사회를 만들자”고 강조하고 있다. 미술계 관계자는 “부자들의 사치를 비판하는 분위기에서 고가의 미술품을 보유하거나 구입하면 ‘시범 케이스’로 피해를 볼 수 있다”며 “이런 불안감이 홍콩 경매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컬렉터 챙기는 양대 경매사

한국 경매시장은 어떨까. 아직은 중국발 ‘한랭전선’이 한반도까지 밀려 들어올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또 다른 미술계 관계자는 “국내 양대 경매회사인 서울옥션과 케이옥션 경매에서 중국 컬렉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며 “중국 경기 침체가 국내 미술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장욱진의 1989년작 ‘새’. 서울옥션·케이옥션 제공
국내 경매사들은 홍콩 경매시장 상황을 의식한 듯 10월 경매의 ‘간판 작품’으로 한국인 컬렉터들이 선호하는 작품을 내세우고 있다. 케이옥션은 오는 25일 열리는 경매에 총 93점, 65억원어치를 출품한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로 인기를 끌고 있는 장욱진의 1989년작 ‘새’(추정가 1억5000만~2억원)와 박수근의 1956년작 ‘가족’(5억~8억원), 이중섭의 1956년작 ‘돌아오지 않는 강’(1억5000만~4억원) 등 한국 대표 근현대 작가의 작품을 리스트에 올렸다.
높이 47.5㎝의 조선시대 달항아리 ‘백자대호’. 서울옥션·케이옥션 제공
서울옥션은 24일 개최하는 경매에서 총 98점, 92억원 규모의 작품을 내놓는데 대표작이 18세기 전반의 달항아리 ‘백자대호’다. 경매 시작가 35억원으로 낙찰되면 국내 달항아리 최고가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크다. 최근 세상을 떠난 단색화 거장 박서보 화백의 8호 크기 ‘묘법 No.171020’(1억~1억8000만원)도 관심을 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