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벚꽃 피는 順으로…2040년 지방대 60%가 소멸
입력
수정
지면A25
인구 5000만을 지키자 (39)현재와 같은 저출산이 이어지고, 대학 입학정원이 유지된다면 2040년 절반 이상의 대학이 문을 닫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방대 충원율·취업률 모두 낮아
생존 가능성, 전남 19%로 최저
경남 21%·부산 30%…서울 81%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의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출생아 25만 명(2022년 기준)과 대학입학정원 47만 명이 그대로 유지되면 2040년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지방대의 상황이 심각했다. 연구팀은 경복궁을 기준으로 전국 모든 대학 주소지와 위도·경도를 반영한 거리를 산출해 거리에 따른 2023학년도 대학 신입생 경쟁률, 신입생 충원율, 졸업자 취업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신입생 경쟁률은 서울과 거리가 멀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원 내 신입생 충원율과 졸업자 취업률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지방대는 신입생 경쟁률, 신입생 충원율, 취업률 등이 모두 낮았다. 한때 인기를 누린 지방 거점 국립대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들 대학의 취업률은 50~60% 정도로 사립 지방대와 비슷했다.보고서에 따르면 2046년 시·도별로 대학이 생존할 가능성은 전남 19%, 울산 20%, 경남 21.7%, 전북 30%, 부산 30.4% 등 50% 미만인 곳이 대부분이었다. 서울(81.5%) 세종(75.0%) 인천(70.0%) 등은 높게 나타났다. 소위 ‘벚꽃엔딩’(벚꽃이 피는 순서로 대학들이 문을 닫음) 가설이 확인된 셈이다.
양 교수는 “수도권 쏠림현상과 함께 지역 간 경제력 불균형이 점차 심화하고 지방대학 소멸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며 “현재 지방대학 미충원율은 수도권의 두 배에 달해 2040년에는 지방대 60%가 소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지방대를 살리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먼저 급격한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을 국가 존폐의 위기 상황으로 판단해 전담 부처를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대학 재정 투자를 늘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OECD 평균 정부의 대학 재정 지원 규모를 1로 볼 때 한국은 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0.9) 프랑스(1.2) 등 주요국보다 낮다.양 교수는 “4년 단임 임기제를 바꿔 유능한 총장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방대들도 특성화, 구조조정, 책무 강화 등을 통해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