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인구 감소에…급증하는 선진국 이민 행렬
입력
수정
![사진=REUTERS](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ZA.34826997.1.jpg)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해 OECD 38개 회원국으로 유입된 해외 이민자 수는 총 610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6%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전인 2019년에 비해선 14% 늘었다. 해당 국가 영주권을 취득한 이민자 수도 지난해 280만명(예비 수치)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874702.1.png)
지난해 독일과 미국으로 향하는 이주민 수가 크게 늘었다.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망명 신청 건수가 급증했다. 지난해 미국으로 망명을 신청한 이민자 수는 73만명을 기록했다. 주로 베네수엘라, 쿠바, 아프가니스탄, 니카과라 등 개발도상국에서 인도주의적 목적의 망명 신청이 증가했다.
선진국에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가 심화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취업 이민이 활성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선진국에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할수록 노동인구 유입 비중이 컸다는 설명이다.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취업 이민은 1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지난해 독일 취업 이민자 수는 전년 대비 59% 증가했다. 미국은 39% 증가한 105만명을 받아들였다. 프랑스는 전년 대비 26% 증가한 30만 1000명을, 영국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52만 1000명을 맞이했다. 뉴질랜드는 지난해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임시 거주지 제공 정책을 시행하자 취업 이민자 수가 1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OECD는 "코로나 팬데믹이 종식한 뒤 유럽연합(EU)의 자유 이동 정책이 다시 시행되고,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의 이동 제한 정책도 완화되면서 이주민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취업 이민은 전체 이민 건수의 20% 이상을 차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호세 루이스 에스크리마 스페인의 사회안전부 장관은 "OECD 국가 대부분은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다"며 "앞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할 일만 남았다"고 밝혔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