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청년 2명 중 1명 최근 5년간 경제활동 비참여"
입력
수정
정규교육기관 통학·일자리 찾기 어려움 등 이유
"적성·전공 살리는 월 200만∼300만원 수준 전문직·사무직 취업 원해" 최근 5년 동안 우리나라 청년 2명 중 1명은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았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는 청년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일 공개한 2018∼2022년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2명 중 1명은 비경제 활동인구로 나타났다.
5년 평균 비경제활동 청년은 462만1천여명으로, 이들이 전체 청년 중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2.1%에 달했다. 청년들의 경제활동 미참여 이유로는 '정규교육 기관 통학'이 5년간 67.7∼72.7% 수준으로 가장 많았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이라고 답한 이들 지난해 38만2천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5년간 그 비중은 2018년 6.6%, 2019년 7.9%, 2020년 9.8%, 2021년 9.8%, 2022년 8.9% 등 증가세를 보였다.
'쉬었음'의 이유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중대한 질병·장애는 없지만 몸이 좋지 않아 쉬고 있음'을 주된 이유로 꼽은 것과 차이가 난다. 또 비경제활동 청년 절대다수는 임금 근로를 희망했는데, 취업 시 '적성·전공'을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코로나19 여파로 취업이 어려웠던 2021년엔 '일자리 안정성'을 가장 큰 고려 요소로 답한 청년들이 많았다.
임금 근로를 희망하는 비경제활동 청년이 취업 시 받고 싶어 하는 월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직업군은 전문직에 이어 사무직으로 분석됐다. 가장 취업하고 싶은 업종은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 행정', '전문,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의 순이었다.
최윤희 경총 청년ESG팀장은 "청년들이 적성과 전공에 맞는 일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민간 주도의 고용지원 서비스 사업을 확대하는 적극적 고용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적성·전공 살리는 월 200만∼300만원 수준 전문직·사무직 취업 원해" 최근 5년 동안 우리나라 청년 2명 중 1명은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았고,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쉬는 청년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일 공개한 2018∼2022년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2명 중 1명은 비경제 활동인구로 나타났다.
5년 평균 비경제활동 청년은 462만1천여명으로, 이들이 전체 청년 중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2.1%에 달했다. 청년들의 경제활동 미참여 이유로는 '정규교육 기관 통학'이 5년간 67.7∼72.7% 수준으로 가장 많았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이라고 답한 이들 지난해 38만2천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5년간 그 비중은 2018년 6.6%, 2019년 7.9%, 2020년 9.8%, 2021년 9.8%, 2022년 8.9% 등 증가세를 보였다.
'쉬었음'의 이유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중대한 질병·장애는 없지만 몸이 좋지 않아 쉬고 있음'을 주된 이유로 꼽은 것과 차이가 난다. 또 비경제활동 청년 절대다수는 임금 근로를 희망했는데, 취업 시 '적성·전공'을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코로나19 여파로 취업이 어려웠던 2021년엔 '일자리 안정성'을 가장 큰 고려 요소로 답한 청년들이 많았다.
임금 근로를 희망하는 비경제활동 청년이 취업 시 받고 싶어 하는 월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직업군은 전문직에 이어 사무직으로 분석됐다. 가장 취업하고 싶은 업종은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 행정', '전문,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의 순이었다.
최윤희 경총 청년ESG팀장은 "청년들이 적성과 전공에 맞는 일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민간 주도의 고용지원 서비스 사업을 확대하는 적극적 고용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