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승계 문제, 편법과 우회 정책 쓸 생각 없다"(종합)

"합병 기권표 전부 매수청구권 행사해도 자금 충분"
내년까지 2단계 합병…홀딩스 상장해 바이오헬스케어 투자사 검토
서정진 셀트리온 그룹 회장은 합병이나 자사주 취득을 승계 문제와 연관 짓는 일부 시선에 대해 "지금 와서 (승계와 관련) 편법과 우회 정책을 쓸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서 회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회의실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자사주 취득과 승계는 연결고리가 없다.

상속·증여세로 못해도 6~7조원은 내야 할 것이기에 승계할 방법도 없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이렇게 회사가 성공할 줄 몰라서 상속 준비를 안 했다"며 "지금은 그것을(상속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 건강관리를 잘하고 있다"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 23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합병이 승인되자 바로 이사회를 열어 셀트리온이 보유 중인 3천599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내년 초 합병등기에 맞춰 소각하되, 3천450억원 규모의 주식을 24일부터 새로 자사주로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도 1천550억원 상당의 자사주를 새로 취득할 예정이다. 현재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각각 3.1%씩 자사주를 가진 상황에서 이번에 취득하는 자사주,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들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로 취득하는 자사주까지 생각하면 통합 셀트리온 법인의 자사주 비율은 현재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서 회장은 자사주 취득 이유로 "인수합병(M&A)을 할 때 주식 스와핑(교환)을 할 수도 있고, 가격이 쌀 때는 제일 자신 있는 자기 회사에 적법하게 투자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2대 주주 국민연금이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승인 안건에서 기권한 것과 관련해 국민연금을 포함해 기권한 주주들이 모두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극단적인 상황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느냐는 질문에는 "셀트리온홀딩스가 준비하고 있는 자금까지 하면 다 받아낼 수 있다"고 답했다. 셀트리온홀딩스는 서 회장이 지분 98%를 가진 지주사로 현재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등 상장 3사를 거느리고 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1차 합병이 마무리되면 셀트리온홀딩스가 합병 법인 지분 21.5%를 소유하고, 합병 법인이 셀트리온제약 지분 54.8%를 보유하게 된다.

서 회장은 실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그렇게 많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해외 펀드들은 오히려 매수청구권으로 들어오는 주식을 받자마자 넘겨줄 수 있느냐며 문의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 회장은 이날 연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1차 합병이 마무리되면 6개월 이내 셀트리온제약과의 2차 합병에 착수, 내년 안에 상장 3사 합병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합병 스케줄을 재확인했다.

서 2단계 합병이 마무리되면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 상장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상장을 하게 되면 홀딩스의 내 지분이 55% 수준으로 줄어야 할 것"이라며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활용, 홀딩스가 바이오헬스케어 투자사가 되도록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셀트리온은 5년 전부터 1천900억원 정도를 투자해 다른 투자사들과 5천억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어 스타트업 R&D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 규모도 계속 키워나가겠다고 했다.

서 회장은 "항상 에비타(EBITDA·이자·법인세·감가상각 전 영업이익)의 3분의 1은 R&D에 투자하려한다"며 "에비타가 3조원이 되면 1조원은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합 셀트리온의 내년 매출을 3조5천억원, 상각 전 영업이익은 1조 7천억원 규모로 예상하며, 2025년도에는 매출과 상각 전 영업이익 모두 50%씩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2030년 22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로 매출 12조원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재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최근 미국 식품의약청(FDA) 판매 허가를 받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램시마SC)가 3년 내 연매출 3조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서 회장은 해외 M&A 계획과 관련해서는 현재 결론이 나지는 않았지만 일본 기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은 우리가 직판망이 있어도 뚫고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시장이기에 시너지가 생기는 것을 우선 보려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